이 영화를 쓰고 만든 이해준 감독이 밤섬에 갇힌 남자 김씨(정재영)와 방안에 갇힌 여자 김씨(정려원)가 엮어 나가는 '김씨 표류기'의 촬영 뒷이야기를 들려줬다.
◇화면에 가득차는 자장라면은 PPL? = 영화의 여러 장면을 차지하며 큰 웃음을 책임지는 문제의 자장라면 제품은 PPL(간접광고)로 쓰인 것이 아니다. 이 감독은 "오히려 그 제품을 쓰기 위한 과정이 까다로웠기 때문에 PPL 의심을 받으면 억울하다"고 말했다.

의도하지 않았더라도 효과는 만점이다. 일반 시사회가 열린 상영관 곳곳에서는 "자장라면 진짜 먹고 싶다"는 속삭임이 흘러나왔고, 화면 가득 자장라면이 들어찰 때는 탄식마저 새어나왔다.
그렇다고 이 영화에 PPL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여자 김씨가 방안에서 신고 돌아다니는 낡은 운동화와 남자를 관찰할 때 쓰는 고성능 카메라는 협찬을 받았다.
◇한국인들이 왜 영어로만 대화를? = 두 김씨는 처음부터 끝까지 영어로만 대화한다. 이 감독은 "기호 같은 대화이기를 바랐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구체적인 느낌을 뺀, 기호 같은 대화였으면 했거든요. 감정이 들지 않은 단순한 대화로 진심을 전할 수 있는지 묻는 거죠."
헬로(Hello), 생큐(Thank You) 같은 초간단 영어 대화는 관객에게 웃음을 안기다가 끝에는 감동까지 주려 하는 중요한 도구다.
◇밤섬에서 못 찍은 밤섬 영화 = 처음부터 끝까지 김씨 2명만 등장하는 인물과 소재의 한계를 극복한 것은 제한된 공간을 넓게 활용하는 방식이었다. 한국판 로빈슨 크루소의 환경 적응기는 야생적이고도 낭만적인 숲 안에서 완성됐다.
그러나 숲 장면들은 밤섬에서 찍지 못했다. 밤섬은 자연생태계 보전지역이라 모래사장 장면밖에 찍을 수 없었던 것. 남자 김씨가 숲을 '탐험'하는 장면들은 충주, 청원 등을 돌며 촬영했다.
이 감독은 같은 숲인 것 같지만 이야기의 전개를 주변 환경으로 표현하려 했다고 설명했다.
"전반부에 김씨가 처음 표류해서 오게 된 숲은 날카롭고 경계의 대상으로 그리려 했어요. 그에 반해 후반부에서 김씨가 숲을 자신의 터전으로 받아들인 뒤에는 따뜻하고 온화한 숲으로 표현하려 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