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신문이 내 손에, 세상이 내 눈에’ 지면기사
내달 7일 ‘신문의 날’ 표어 선정 캐릭터 공모전 ‘제트와 핀’ 수상 4월 7일 신문의 날을 맞아 한국신문협회·한국신문방송편집인협회·한국기자협회는 신문의 날 표어 대상으로 ‘신문이 내 손에, 세상이 내 눈에’를 선정했다. 올해 2회째를 맞은 신문 홍보 캐릭터 공모전 대상엔 ‘제트와 핀’이 뽑혔다. 언론 3단체는 지난 11일 신문협회 회의실에서 표어와 캐릭터 심사를 진행했다. 표어의 경우 조영상 경인일보 편집국장, 정양환 동아일보 문화부장, 김봉철 아주경제 산업부 유통중기팀장(부장)이 심사에 참여했다. 캐릭터 심사엔 권기령 동아일보
-
[포토] 위기에서 기회로… ‘지역신문 발전 포럼’ 출범 지면기사
-
인천, 도시성장 각종 지표에서 월등… 부산도 제쳤다 지면기사
인천, ‘국내 2도시’ 빠르게 추격 GRDP 116조 기록 부산 첫 추월 경제성장률 ‘4.8%-0.8%’ 큰차 인구 순유입률 0.85% ‘전국 1위’ ‘도시 성장’을 보여주는 각종 지표에서 인천이 부산을 앞서고 있다. ‘국내 2위 도시’ 부산을 인천이 빠른 속도로 추격하는 양상이다. 20일 한국관광공사 한국관광데이터랩 자료, 인천시 등에 따르면 지난해 인천 방문자 수(이동통신 데이터 기반 외지인 방문자)는 연인원 1억7천732만명으로 2021년(1억3천552만명) 이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부산은 1억2천366만명(2021년)에서
-
‘더 내고, 더 받고’… 여야, 18년 만에 연금개혁 합의 지면기사
보험료율, 현행 9% → 13% 높아져 내년부터 소득대체율 43%로 인상 국회는 20일 ‘더 내고 더 받는’ 국민연금법 개정안을 처리했다. 2007년 이후 18년 만이자, 1988년 국민연금 도입 후 세 번째 연금 개혁이 이뤄진 셈이다. 이날 국회 본회의에 상정된 국민연금법 개정안은 재석 277명 중 찬성 193명·반대 40명·기권 44명으로 통과됐다. 앞서 국민의힘 권성동·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원내대표는 이날 우원식 국회의장 주재 회동에서 이런 내용의 합의안에 서명했다. 개정안에 따르면 ‘내는 돈’인 보험료율은 현행 9%에서 13%
-
[뉴스분석] 기능 잃은 문학주경기장, 2028년까지 답 찾을까 지면기사
‘청라 돔구장 개장’ SSG 떠나면 국제경기 개최 등 ‘빌드업’ 시급 10년넘게 주요대회 전무 공연 유치로 시설 활용 市, 5월부터 연구용역 주변 슬럼화 우려 차단 체육 경기 개최시설로서 기능을 잃은 ‘인천문학경기장 주경기장’이 3년 안에 안정적 운영·활용 방안을 확보해야 한다는 과제를 안았다. 운영 주체인 SSG야구단이 청라 돔구장 개장에 맞춰 2028년 떠나기 때문이다. 인천시가 곧 추진할 노후 시설 개보수 공사는 물론, 경기장을 지속적으로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한 고민이 시급한 시점이다. ■ 국내 월드컵 경기장 중 인천만 체육
-
오직 당신만을 위한 맞춤 놀이터… 플랫폼시대 연 ‘놀유니버스’
‘놀유니버스’가 그리는 미래는… 여가·여행·문화의 ‘온리원’ 플랫폼
-
‘26년 외길’ 정기옥 엘에스씨푸드 회장, 동탑산업훈장 영예
국내 급식업계 선진화 이바지하고 취약층 일자리창출에도 노력 공로 학교급식 1위…분야대표기업 성장 정기옥 (주)엘에스씨푸드 회장이 상공인들의 최고 명예인 산업훈장을 수훈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최태원 SK 회장)는 19일 오후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제52회 상공의 날 기념식’을 열고 동탑산업훈장 정기옥 회장 등 국가경제 발전에 기여한 상공인 및 근로자 231명에게 산업훈장·산업포장·대통령 표창 등을 수여했다. 기념식에는 양재생(부산상의)·정태희(대전상의)·김정태(전주상의) 회장 등 전국상공회의소 회장단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
-
경제일반
경기도민 ‘정규직 전환’ 취업 기회… 26일까지 ‘징검다리 사업’ 모집 지면기사
경기도가 미취업 경기도민에게 일 경험부터 정규직 전환 기회를 제공하는 등 취업의 전 과정을 돕는다. 도와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오는 26일까지 ‘2025년 징검다리 일자리 사업’ 참여자 100명을 모집한다고 18일 밝혔다. 징검다리 일자리 사업은 취업 취약계층 등에게 공공 및 민간부문에서 실무경험을 제공해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도록 하는 경력 형성형 일자리 사업이다. 공공형은 18세 이상 미취업 경기도민 중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또는 6개월 이상 장기 실직자 등 취업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다. 민간형은 18세 이상 미취업 경기도
-
[영상+] 김상민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비단’ 대표 “‘새로운 금융자산 허브 이끌것” 지면기사
“‘비단길’로 지구촌 동서 연결” “과거엔 IT기업 카카오에 투자했다면, 이젠 먹는 카카오에도 투자할 수 있는 시대” “투자의 민주화는 곧 개개인 선택의 자유 극대화… 기술 발전으로 실생활 큰 변화” 쉰 살을 넘기고 쌍둥이를 얻은 김상민(52)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대표는 “이제야 지구에 뿌리를 내린 것 같다”며 웃음을 지었다. 그는 한때 아주대학교 최초의 비운동권 총학생회장이었으며, 대학 졸업 후 찜질방과 고시원을 전전하며 후배 대학생들의 선봉에서 우파 청년 사회운동가로 활동했다. 이후 ‘박근혜 키즈’로 정치권에 영입되어 19대
-
장관도 전통시장서 써봤지만…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잘 몰라” 지면기사
수원서 의견 청취·홍보 활동 이달초 2개월 지연뒤 통합형 출시 중기부, 28일까지 20% 환급 행사 현장 “휴대폰 결제 번거로워” 반응 카드결제와 모바일(QR)결제가 통합된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이 출시되며 전통시장에서도 디지털화의 바람이 불고 있다. 정부가 이를 홍보하기 위해 환급 이벤트 등에 나섰지만, 현장에서 체감도를 높이는 데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은 지난 1일 기존 카드결제와 모바일(QR)결제로 나뉜 온누리상품권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으로 통합 개편했다. KT와 비즈플레이가 나눠 운영하던 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