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권에 대한 국민들의 실망이 극에 달한 터에 이번에는 청와대마저 여론의 도마 위에 오를 참이다. 이기준 교육부총리의 임명이 일파만파로 번질 조짐이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의 교육은 대대적인 수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역량 있는 인사가 교육부총리에 기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언론을 통해 보도된 바처럼 이기준 교육부총리는 이미 도덕성에 문제가 있어 타의에 의해 서울대총장직에서 물러난 사람이다.
서울대가 어떤 곳인가. 우리나라 최고의 국립대학으로써 엄연한 국가기관이다. 국가기관의 수장이 도덕성시비로 도중하차했다면 더이상 공직에의 재기용은 안된다. 얼마전 모 농림부 차관은 추석 때 고교 선배로부터 떡값으로 1백만원을 받은 것이 사실로 드러나 사직해야만 했다. 또한 의아스런 점은 병역비리의혹으로 눈총을 받던 장남의 국적포기 문제가 새로 불거지자 이 부총리는 사전에 전혀 몰랐다고 주장했다. 한 집안의 장남이 그것도 30대 중반의 다 큰 성인이 호적을 정리하면서 부모에게 알리지 않았다는 것은 쉽게 납득되지 않는다.
더욱 어처구니없는 것은 정찬용 인사담당 수석비서관의 사실과 다른 해명이다. 정 수석은 이 부총리가 서울대 교수로 재직할 당시 한 대기업의 사외이사를 겸직한데 대해 〃당시에는 사외이사 겸직이 위법이 아니었다〃고 주장했으나 당시에는 대학교수의 사외이사 겸직을 금하는 규정이 국가공무원법 제 64조에 명기되어 있었다. 또한 정수석은 이부총리가 업무추진비를 개인적으로 유용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으나 이 역시 사실과 다른 것으로 드러났다. 실로 어이가 없다. 이 부총리의 기용과 관련, 청와대 최고위층이 개입된 정실인사란 루머도 돌고 있는데 이것이 사실이라면 문제는 한층 더 심각하다.
물론 털어서 먼지 않나는 사람은 없다. 구성원 모두를 만족시키는 인사도 불가능하다. 마녀사냥은 더욱 경계되어야 한다. 그러나 아무리 능력이 출중하더라도 자라나는 2세 교육을 책임지는 교육부 수장에 도덕적으로 흠이 있는 인물을 임명했다는 것은 아무래도 납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번 인사시비를 단순히 집권세력들간의 권력투쟁이라거나 혹은 보수세력들의 노 대통령에 대한 흠집내기 차원의 시비로 보아서도 안된다. “인사가 만사”라 했다. '참여정부'란 명칭에 걸맞게 정부와 국민 모두가 '윈-윈'하는 인사를 희망한다.
개운치 않은 교육부총리 임명
입력 2005-01-07 00: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05-01-07 0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