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가 후보등록 전 단일화에 합의하면서 핵심 사안인 '새정치공동선언', '경선룰' '국민연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특히 세 가지 사안이 어떻게 가닥잡히느냐에 따라 이번 대선 승패 외에 향후 정계개편까지 나아갈 수 있어 보름여간의 단일화 경쟁에 돌입한 문·안 후보측은 물론 정치권 전체가 신경을 곤두세우는 모양새다.
대통령·국회 기득권포기 골자 반부패척결 이미공감대
당락 상당한 영향 경선룰 실무협상없이 담판 가능성도
공동정부 고리 국민연대·연합·신당 창당 다양한 전망
■ 새정치공동선언
두 후보가 정치쇄신 분야에 대해 많은 얘기를 주고받으며 입장을 좁혀온 만큼 이르면 9일, 늦어도 11일에는 두 후보가 합의한 '선언'이 발표될 전망이다. 공동선언의 핵심은 정치혁신, 정당개혁, 기득권 내려놓기가 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두 후보는 합의문에서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새 정치와 정치 혁신이 필요하고, 정치혁신의 첫걸음은 정치권이 먼저 기득권을 내려놓는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세 가지 사안 중 대통령과 국회의 기득권 포기, 권력기관 개혁과 반부패 척결에는 두 후보간 이미 공감대가 형성됐다. 반면 중앙당 폐지 내지는 축소, 국회의원 공천권, 국가보조금 축소 등에 대해서는 방식과 관련해 이견을 보이고 있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문 후보는 이날 '새정치공동선언' 준비 실무팀에 정해구·김현미(고양일산서)·윤호중(구리) 의원을 선임했다. 안 후보는 김성식 전 의원, 심지연 경남대 교수, 김민전 경희대 교수를 선택했다.
■ 경선룰
두 후보간 합의에 따라 '새정치공동선언'이 발표된 이후 협상이 진행된다. 두 후보 모두 "유불리를 따지지 않겠다"고 선언했지만 어떤 단일화 방식을 택하느냐에 따라 당락여부에 상당부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아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 룰 협상 시나리오는 크게 세 가지가 거론되고 있다. 하나는 지난 2002년 노무현·정몽준 후보 단일화 때 노 후보가 정 후보의 주장을 전격 수용했던 방식이다.
두 번째는 2010년 6·2선거 때 국민참여당 유시민 후보와 김진표 민주당 후보 사이에 진행됐던 단일화 협상으로, 당시 유 후보가 끝까지 버티며 '100% 여론조사'로 단일후보가 됐다. 세 번째는 서울시장 선거에서 안 후보가 현 박원순 서울시장에게 전격 양보했던 담판 방식이다.

이와 관련, 문 후보측 신계륜 공보단장은 이날 한 라디오에 출연, "어제 회동도 실무협상 없이 전개됐다"며 "단일화 방식 논의도 협상팀 없이 갈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든다"며 담판가능성을 제기했다.
■ 국민연대
정치권에서는 '국민연대'를 놓고 안 후보의 민주당 입당, 공동정부를 고리로 한 연대·연합, 대선 전후 신당 창당 등 다양한 해석을 내놓고 있다. 두 후보가 단일화 이후 지지자들의 이탈을 최소화하면서 정권교체를 이뤄내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한 것인데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김순기·송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