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청와대 홈페이지 해킹 신종 디도스. 청와대와 국무조정실 및 일부 언론사 홈페이지가 외부세력에 의해 해킹당한 25일 오후 서울 송파구 가락동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침해대응센터에서 관계자들이 민간사이트 피해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연합뉴스

25일 발생한 청와대 홈페이지 해킹은 신종 디도스 공격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26일 안랩은 전날 이루어진 국내 정부기관과 언론사, 정당에 대한 디도스 공격에 '악성스크립트'를 이용한 새로운 방식과 악성코드에 감염된 좀비 컴퓨터를 이용하는 기존 디도스 공격 방식이 섞여 있다고 밝혔다.

안랩에 따르면 청와대, 국정원, 새누리당의 웹 사이트는 악성스크립트 방식의 디도스 공격을 받았으며, 이는 국가기관을 상대로 한 대형 디도스 공격에는 처음 사용된 기법인 것으로 드러났다.

악성스크립트 방식 디도스 공격은 기존 좀비 컴퓨터를 이용한 공격과 달리 공격자가 악성스크립를 설치해놓은 웹사이트를 사용자들이 방문하면 미리 설정해놓은 웹사이트로 공격 트래픽(전송량)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분석 결과 사용자가 악성스크립트가 설치된 웹사이트에 접속하자 공격목표인 청와대, 국정원, 새누리당 웹사이트로 공격이 시작됐다.

▲ 청와대 홈페이지 해킹 신종 디도스. 청와대와 국무조정실 홈페이지가 자칭 '민주와 통일을 지향하는 어나니머스코리아' 에 의해 25일 오전 9시30분께 해킹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뉴스

또한 정부통합전산센터의 도메인네임서비스(Domain Name Service·DNS)서버는 좀비 컴퓨터를 사용한 기존 방식의 디도스 공격을 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공격자는 우선 25일 0시부터 특정 웹하드의 설치 파일과 업데이트 파일을 통해 개인사용자 컴퓨터를 악성코드에 감염시켜 좀비 컴퓨터로 만들었고 이후 오전10시 좀비 컴퓨터들이 특정 서버를 디도스 공격하도록 C&C서버(공격자가 악성코드에 명령을 내리는 서버)로 명령을 내렸다.

DNS 서버는 웹 사이트 이용자들이 정부 기관의 주소를 입력하면 이를 실제 웹사이트로 연결해주는 기능을 하는데, 정부통합전산센터의 DNS 서버가 공격을 받아 일부 정부기관 웹사이트들의 접속이 원활하지 못했던 것이다.

한편, 안랩은 일부 언론사에 대한 공격에 대해서는 정부기관 디도스 공격에 이용된 악성코드와는 다른 종류의 악성코드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하드디스크 파괴기능을 가진 악성코드도 추가로 발견된 것으로 알려졌다.

안랩은 "좀비 컴퓨터를 이용한 기존 방식의 디도스 공격은 사용자들이 백신업데이트와 정밀검사를 통해 자신의 컴퓨터가 좀비가 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안랩에 따르면 백신 V3는 공격에 이용된 좀비 컴퓨터의 악성코드를 모두 진단하고 있다. 안랩은 엔진 업데이트를 계속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