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진흥공단이 청년창업 활성화를 위해 저금리로 융자지원하는 '청년전용창업자금'의 원금상환이 다음달부터 본격 시작되지만, 정작 파산이나 부도 등으로 인한 부실채권 회수 대책에는 미온적이어서 혈세 낭비가 우려되고 있다.

5일 중진공 경기지역본부에 따르면 정부의 청년창업 육성정책에 따라 2012년부터 우수한 아이디어를 가진 만 39세 이하 청년창업가를 대상으로 청년전용창업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담보 능력이 부족한 청년창업자들의 특성을 고려해 신청자에 한해 융자금을 1억원 한도에서 연 2.9%의 저리로 직접신용대출이 이뤄지고 있다.

도입 첫 해 도내 261개 회사에 157억원이 지원됐고, 지난해 220개사에 183억원이 돌아갔다.

해마다 자금 규모는 늘어나 올해에는 224억여원으로 260여개사에 대해 지원할 계획이다.

하지만 자금 지원 2년 만에 벌써부터 부도, 파산, 90일 이상 이자 연체 등의 이유로 '약정해지'되는 경우도 잇따르면서 4%에 육박하는 해지율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지난 2년간 이자를 내던 것에서 다음달 원금상환일이 돌아오면서 해지율이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중진공은 향후 해지율을 낮추기 위해 전문위원들의 창업 컨설팅, 청년 CEO 커뮤니티, 권역별 교류회, 멘토 그룹과의 만남, 창업자들간 업무 연계 및 수·발주 등 대책을 마련해 놓고 있지만 이미 발생한 부실채권에 대한 추심 방안이 없어 속앓이를 하고 있다.

중진공 경기본부 관계자는 "청년 창업 기업은 그 자체로 위험부담이 크기 때문에 어느 정도 해지율이 높아질 것은 감안하고 있다"며 "채권보전절차 등 최대한 원금을 돌려받으려고 하지만 쉽지 않기 때문에 창업 기업이 성공할 수 있는 방향으로 예방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신선미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