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 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와 관련해 이재율 안전행정부 안전관리본부장이 1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사고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안전행정부 제공

경북 경주 마우나리조트 강당 붕괴 사고 현장에서는 구조대가 사고 발생 12시간이 흐른 18일 오전 막바지 수색을 하고 있다.

17일 오후 9시 30분께 현장에 들어간 구조대원과 육군, 해병, 경찰 등 1천500여명은 무너져 내린 강당 지붕의 잔해를 일일이 헤치고 건물 안으로 기다시피해 들어가 밤새도록 구조에 나섰다.

이들은 치우지 못한 구조물 등을 두드리며 "누구 있느냐"고 소리를 질러 구조물 반대쪽을 일일이 확인했으며 사고 현장 전체를 밝힐 수 있는 조명을 설치하지 않아 소형 손전등을 이용하거나 손으로 더듬어 어두운 붕괴 현장으로 들어갔다.

이런 악조건에다 굴착기나 기중기 등 중장비를 이용해 건축물 잔해를 들어내는 작업을 병행하는 바람에 구조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 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 18일 오전 경북 경주 마우나오션리조트의 강당 붕괴 현장에서 소방대원들이 중장비를 동원해 복구작업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구조당국은 현재 매몰자가 없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당초 연락이 끊긴 학생 2명은 소재가 드러나거나 사고와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사고로 학생 9명과 이벤트 업체 직원 1명이 숨진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벤트 업체 직원 11명은 연락두절 상태다.

한편 유정복 안전행정부 장관은 18일 오전 5시 30분께 현장을 찾아 구조작업을 지켜봤다. 유 장관은 "안타까운 사고가 발생했다. 유족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하며 사망, 부상자 대첵에 온 힘을 쏟아달라"고 당부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