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력 카드를 한 개씩 거머쥔 여야는 23일 원내대표 담판 회동을 통해 국회 정상화 여부를 타진할 계획이어서 이번주가 연말 정국의 최대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임시국회 개최 사흘째인 지난 17일부터 비선의혹을 다루기 위한 운영위 소집을 요구해 왔다. 우윤근 원내대표는 지난 19일 새누리당 이완구 원내대표를 항의 방문해 "23일 주례회동까지 운영위 소집에 대한 답을 주지 않으면 다른 상임위를 열지 않겠다"고 말했다.
이에대해 새누리당이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인 만큼 야당의 소집 요구가 명분이 없다고 반대하면서 12월 임시국회 일정이 사실상 중단된 상태다.
이완구 원내대표는 같은 날 기자간담회에서 "(운영위 소집이) 안 된다고 하지 않았다"며 "검찰 수사 발표 이후 (운영위를 소집하는 것이) 보다 생산적이고 합리적인 운영 아니겠나"라고 밝혔다.
와중에 통합진보당 해산이라는 쓰나미가 국회를 덮치자 여야 모두 여론 추이 등 파장을 예의주시하며 국회 정상화 문제를 고심하는 분위기다. 여야는 통진당 해산 결정 이후 국회가 보수·진보의 이념논쟁의 장(場)이 돼서는 안 된다며 일단 말을 아끼고 있다. 하지만 속내는 각각 다른 '동상이몽'의 모습이 엿보이고 있다.
새누리당은 새정치연합에 대해 이른바 통진당과의 '야권연대 원죄론'을 본격적으로 꺼내들지 않은 채, 이럴 때일수록 민생과 경제 살리기에 집중해야 한다는 태도를 유지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통진당 해산으로 인해 '비선실세 국정개입 의혹' 이슈가 실종될까 우려하는 분위기다.
와중에 여야는 21일 원내수석부대표를 앞세워 국회정상화를 위한 물밑접촉에 들어갔다. 23일에는 원내대표간 주례회동이 예정돼 있고, 여기서 조율이 이뤄질 경우에는 양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다시 '2+2' 회동을 할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다.
여야가 원내대표 회동 등을 통해 이번주내에 정상화 실마리를 찾지 못하면 여야가 이미 합의한 29일 민생경제법안 처리를 위한 본회의 개최 합의부터 파기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 또 연내에 구성키로 합의한 공무원연금 개혁 처리를 위한 국회 내 특위와 국민대타협기구, 해외자원개발 국조 등의 운명도 마찬가지다.
이럴 경우 비선의혹을 둘러싼 대치에다 통진당 해산으로 이념논쟁 양상까지 더해지면서 연말정국이 경색 국면으로 치달을 전망이다.
/김순기·송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