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070801000497700024001
최규원 경제부 차장
장마가 시작되면 생각나는 영화가 있다. 일본 영화인 '지금 만나러 갑니다'다. 영화 배경이 장마이기도 하고 풋풋한 감성을 돋우는 영화이기 때문이다.

일본 농촌을 배경으로 하는 이 영화 초반 학교 장면에서 학생과 마을 사람들은 비가 많이 오지 않기를 기원하면서 난간 같은 곳에 인형을 걸어둔다. 그러나 꼬마 주인공만 인형을 거꾸로 걸어둔다. 거꾸로 걸어두면 비가 온다는 속설 때문이다. 남들은 바라지 않지만 이 꼬마는 비가 오기를 간절히 기원했기 때문이다.

비의 계절(장마)에 엄마가 자신을 보러온다는 아빠의 말을 믿고 있기 때문이다. 꼬마의 바람 때문 이었는지 정말 비의 계절이 시작되고 숲에서 쓰러진 엄마를 만난 꼬마 주인공은 엄마와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내게 된다.

영화 주인공 꼬마가 아니더라도 이번 장마는 많은 이들이 기다려온 시간이다. 특히나 몇 십 년만의 가뭄으로 씨조차 뿌리지 못한 농부들에게는 기다리고 기다리던 일일 것이다. 앞으로의 작황이 평년 수준 또는 풍년은 아닐지라도 어쨌든 시작은 할 수 있으니 말이다.

이 장마가 대지에 생명을 불어넣었다면 이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그 생명이 꺼지지 않게 하는 일이다. 그동안의 가뭄 대책은 기후 변화로 인해 올해 같은 가뭄에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보다 근본적인 치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사람은 늘 실수를 한다. 하지만 한 번은 실수지만 똑같은 일을 다시 하는 것은 실수가 아닌 잘못이다.

치수 대책이 잘못된 것을 알았다면 지금부터 똑같은 잘못을 하지 않기 위한 근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인생도 마찬가지다.

간절히 바라던 비의 계절이 왔고 가뭄으로 잠시 머물러 있었다면 잠시 숨을 고르고 다시 출발해야 할 때가 됐다.

이미 2017년 상반기가 지났고 하반기가 시작했다. 이제 본격 무더위가 시작될 것이고 휴가도 가야 한다. 하지만 연초에 올해는 이것만 해보자고 계획했던 일은 어찌되고 있는지 한 번 되돌아볼 시점이 바로 지금이다.

계획했던 일을 잘 진행하고 있다면 다행이겠지만 작심삼일로 끝난 일이 있다면 작심삼일도 계속 계획을 마련해 작심삼일이 계속 이어질 수만 있다면 그 계획은 완성될 수 있다. 이제 다시 시작이다. 나의 목표여 '지금 만나러 갑니다'.

/최규원 경제부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