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은 신경인성 방광 질환으로 진료받은 사람이 2011년 30만1천명에서 2016년 41만5천명으로 5년간 연평균 6.6%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신경인성 방광 질환은 신경이나 근골격계 손상 등으로 방광이나 요도 기능에 이상이 생겨 배뇨에 어려움을 겪는 병이다.

방치하면 요로감염, 신부전, 결석으로 발전할 수 있고 대인기피증과 우울증까지 동반할 수 있어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지난해 환자 연령을 살펴보면, 70대 이상이 14만2천명(34.1%), 60대 8만명(19.4%), 50대 7만2천명(17.4%), 40대 5만명(12.0%) 순이었다.

신경인성 방광 질환의 증상은 다양하다. 방광에 오줌이 괴어 있지만 배뇨하지 못하는 요폐와 요의 소실, 요실금, 빈뇨, 야간뇨, 절박뇨 등이 있을 수 있다.

척수손상, 파킨슨병, 뇌졸중, 허혈성 혹은 출혈성 뇌병변, 치매, 뇌성마비, 다발성경화증, 다계통위축증, 오랜 기간 당뇨병을 가진 사람은 신경인성 방광 질환이 생길 가능성도 크다.

치료방법으로는 요도에 도뇨관을 삽입해 소변을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청결간헐적도뇨법이나 치골상부 요도카테터삽입술, 약물치료, 신경조정요법, 방광 내 약물주입이나 보톡스 주입술, 인공요도삽입술 등이 있다.

신경인성 방광으로 인한 합병증을 예방하고 이에 대한 치료도 반드시 병행해야 한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