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이전지 개발·발전 지원 약속

金, 유세서 주민 소음 피해 언급

구체적 실천안 없다는 비관론도

양당 후보 공약은 청주공항 계획

수원 군공항 전경 모습. /경인일보DB
수원 군공항 전경 모습. /경인일보DB

경기도의 오랜 현안인 ‘수원 군공항 이전’ 문제를 두고 거대 양당 대선 후보들이 다소 입장차는 있지만, 해당 문제를 거론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다만 수원 군공항 이전과 필연적으로 맞닿아 있는 동시에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핵심공약이기도 한 ‘경기국제공항’은 거론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어서, 구체적 실천안은 없는 것 아니냐는 비관적 해석도 나온다.

20일 더불어민주당 경기도당에 따르면 이재명 후보는 도내 31개 시·군의 공약을 내놓으며 수원 군공항 이전 및 이전지 개발 지원을 약속했다.

도심지 한가운데 위치한 군공항으로 인해 시민들이 극심한 소음 피해와 재산권 침해를 겪고 있어, 군공항 이전을 통해 피해를 완화하고 도시 발전을 이루겠다는 취지다. 다만 이전 부지 위치나 그에 따른 지역간 갈등 해소 방안, 이전지 개발 지원에 대한 계획 등은 뚜렷이 언급하지 않았다. 군공항 이전이 대선 공약에 담긴 만큼 수원은 물론, 이전 후보지로 거론돼온 지역에서도 촉각을 곤두세우는 모양새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도 지난 16일 수원에서 진행한 집중유세에서 군공항 소음 피해를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김 후보는 “수원은 제10전투비행단 등 국방을 지키는 곳이다. 비행장이 (소음 때문에) 시끄러워도 (시민들이) 옮기라는 소리도 안 했다”며 “비행단 조종사와 공군을 사랑하는 시민들의 호국 의지를 받들겠다”고 말했다.

국가 안보를 위해 군공항 소음 피해를 감내해온 시민들을 추켜세운 것이다.

이런 와중에 도가 공약 반영을 건의한 경기국제공항 조성에 대해선 거대 양당 후보들 모두 거론하지 않고 있다. 경기국제공항 후보지로 선정된 지역 주민들이 설립을 반대하고 있는 가운데, 이재명 후보는 청주공항 확대를 공약한 상태이고 김문수 후보도 화성 동탄부터 청주공항까지를 잇는 광역급행철도를 통해 청주공항 접근성을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이 때문에 경기도 안팎에선 김 지사의 역점 사업인 경기국제공항 설립이 난관에 부딪힐 수 있다는 우려도 번지고 있다.

수원 군공항 이전 및 경기국제공항 조성 등에 대한 양당 후보들의 기조에 대해 지역 사회에선 보다 구체적인 청사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조철상 경기통합국제공항추진시민협의회 회장은 “이재명 후보의 공약에는 이전지 등 구체적인 내용이 없고, 김문수 후보는 아예 언급도 하지 않아 아쉽다”며 “군공항을 아예 폐쇄하거나 이전한다면 대안 지역이 보다 구체적으로 나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면 황성연 경기국제공항백지화공동행동 집행위원장은 “매 선거 때마다 군공항 이전 문제가 공약화되는데, 이전 자체가 실현하기 어려운 일”이라며 “실현 가능하지 않은 공약을 되풀이하는 것보다 아예 언급을 안 하는 게 더 현실적이지 않나 싶다”고 지적했다.

/한규준기자 kkyu@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