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7일 남북정상회담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또 'NSC 농담'을 건넸다.
김 위원장이 "우리 때문에 국가안보회의(NSC)에 참석하시느라 새벽잠을 많이 설쳤다는데, 새벽에 일어나는 게 습관이 되셨겠다"며 농담을 던졌고, 문 대통령은 "특사단이 갔을 때 선제적으로 말씀해주셔서 앞으로 발 뻗고 자겠다"며 비핵화와 연결시켜 부드럽게 맞받았다.
그는 지난 3월 초 방북한 우리 특사단을 만난 자리에도 "그동안 우리가 미사일을 발사하면 문재인 대통령이 새벽에 NSC를 개최하느라 고생 많으셨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대통령께서 새벽잠을 설치지 않도록 내가 확인하겠다"며 "불과 200m를 오면서 '왜 이리 멀어 보였을까. 또 왜 이리 어려웠을까' 생각했다. 원래 평양에서 대통령을 만날 줄 알았는데 여기서 만난 게 더 잘 됐다. 대결의 상징인 장소에서 많은 사람이 기대를 갖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오면서 보니 실향민과 탈북자, 연평도 주민 등 언제 북한군의 포격이 날아오지 않을까 불안해하던 분들도 우리의 오늘 만남에 기대를 갖고 있는 걸 봤다. 이 기회를 소중히 여겨 남북 사이에 상처가 치유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분단선이 높지 않은데 많은 사람이 밟고 지나다 보면 없어지지 않겠나"고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디지털뉴스부
김 위원장이 "우리 때문에 국가안보회의(NSC)에 참석하시느라 새벽잠을 많이 설쳤다는데, 새벽에 일어나는 게 습관이 되셨겠다"며 농담을 던졌고, 문 대통령은 "특사단이 갔을 때 선제적으로 말씀해주셔서 앞으로 발 뻗고 자겠다"며 비핵화와 연결시켜 부드럽게 맞받았다.
그는 지난 3월 초 방북한 우리 특사단을 만난 자리에도 "그동안 우리가 미사일을 발사하면 문재인 대통령이 새벽에 NSC를 개최하느라 고생 많으셨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위원장은 "대통령께서 새벽잠을 설치지 않도록 내가 확인하겠다"며 "불과 200m를 오면서 '왜 이리 멀어 보였을까. 또 왜 이리 어려웠을까' 생각했다. 원래 평양에서 대통령을 만날 줄 알았는데 여기서 만난 게 더 잘 됐다. 대결의 상징인 장소에서 많은 사람이 기대를 갖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오면서 보니 실향민과 탈북자, 연평도 주민 등 언제 북한군의 포격이 날아오지 않을까 불안해하던 분들도 우리의 오늘 만남에 기대를 갖고 있는 걸 봤다. 이 기회를 소중히 여겨 남북 사이에 상처가 치유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 분단선이 높지 않은데 많은 사람이 밟고 지나다 보면 없어지지 않겠나"고 언급해 눈길을 끌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