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50201000136800004491
김선회 지역사회부(오산) 차장
사서삼경 중 하나인 '서경(書經)'은 요순(堯舜)시대부터 서주(西周)시대까지 덕으로 다스린 군주들의 문서를 수집해 공자가 편찬한 책으로, 동양고전 중 가장 오래된 정치학의 교과서라 할 수 있다. 서경에는 한 나라의 지도자가 정치를 할 때 다음과 같은 8가지의 우선순위를 정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첫 번째, '먹을 것(食)'이다. 아무리 이상적인 공약을 떠들어도 대중들을 배불리 먹이지 못하면 실패한 정치다. 예를 들어 김상곤 교육부 장관은 지난 2009년 경기도 교육감 선거에 출마해 무상급식을 공약으로 들고 나와 승리 한 반면, 오세훈 전 서울시장은 2011년 '무상급식은 포퓰리즘'이라고 주장했다가 주민투표까지 간 끝에 결국 시장직을 잃게 됐다. 이는 대중들에게 먹거리가 그만큼 민감한 문제라는 뜻이며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는 교훈을 준다.

둘째는 '재화(貨)', 요즘으로 치면 생산과 소비를 통한 금전의 유통과 경제문제의 해결이라고 볼 수 있다. 셋째는 '제사(祀)'인데 현대사회는 제정일치(祭政一致)가 아닌 만큼 제사의 필요성이 줄어들었지만, 굳이 현대적으로 해석하자면 복잡한 종교 갈등의 해결이라 할 수 있겠다. 세계사를 살펴봐도 대부분의 굵직한 전쟁은 종교로 인해 발생한 것이며, 한 나라 안에서 종교적 갈등이 심해지면 나라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군주들은 저마다 국교를 정해 종교를 통일시키려고 노력한 것이다.

넷째는 '건설(司空)', 다섯째는 '교육(司徒)', 여섯째는 '치안(司寇)'이며, 일곱째는 '손님 접대(賓)'로 주요 국가와의 외교 혹은 경제적인 비즈니스라고 할 수 있겠다. 그리고 마지막은 '군사를 다스림(師)'이다.

서경은 이처럼 2천 년 전의 통치 원칙을 들려주고 있는 데 요즘의 정치인들이 반드시 새겨 들어야 할 내용들로 가득하다. 특히 최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판문점에서 극적으로 만난 사건은 외교문제와 군사문제가 매우 밀접하게 연결돼 있음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바야흐로 정치의 계절이다. 올해 6·13 지방선거에서는 총 7장의 투표를 통해 시·도지사, 교육감, 시·도의원 등을 뽑아야 하는데 출마에 나선 사람들이 상대방 흠 잡는 네거티브 전략에만 집중하지 말고 위에 언급한 8가지 덕목이라도 잘 새겨서 좋은 정책으로 승부했으면 한다.

/김선회 지역사회부(오산)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