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산양식·재생에너지 개발 등 교류
北도 식량·전기 공급 해결 길 열려
대중국 환경오염 대응·항로개발도

인천이 남북협력의 전초기지로 거듭나려면 서해를 배경으로 한 해양과학기술 협력을 준비해 나가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제언이 나왔다.

인천연구원은 지난 19일 연구원 대회의실에서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연구원 등을 초청해 '서해에서의 해양분야 인천의 남북협력 방안'이라는 주제로 워크숍을 열었다.

이날 워크숍에서 전동철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순환·기후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서해 미래비전-해양과학기술 남북협력 제안'이란 내용을 발표하면서 서해에서의 수산양식, 재생에너지 개발, 생태보전, 오염방제 등 남북 교류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북한이 가장 원하는 식량·전기 공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속 가능한 남북 협력·교류방안도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동철 연구원은 "평안북도 쪽 해역 갯벌은 매우 광활하고 평안남도 문덕에는 철새보호구가 있을 만큼 생태 보전도 뛰어난 곳"이라며 "충남 안면도를 비롯해 서해에도 비슷한 구조의 갯벌이 많아 양식 기술을 확보하고 있는 기업이 진출할 수 있게 하거나, 수산 양식 기술을 전수할 수 있도록 남포항에 기술훈련센터를 설립해 수산·물류 시장 기반을 구축하게 되면 북한에 가장 시급한 식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산 양식과 밀접한 환경분야에서의 협력방안도 제시했다.

전 연구원은 "서해 해저에 퇴적하는 중금속이 연간 수은 21t으로 연구 조사되고 있고 중국에서도 수은(Hg)이 다량 방출되고 있다"며 "해양 보전, 오염 방제를 위해 대중국 환경 오염·감시 센터를 마련해 남북이 공동으로 대응해 나가는 것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밖에 전동철 책임연구원은 접경해역(NLL)을 이용한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안전항로(인천~해주~남포~신의주) 공동개발 등도 제시했다.

양찬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방위·안전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서한만(평북 철산반도와 황해도 장연반도 사이 삼각형의 만) 해양환경과 남북 해상 물류환경 평가'라는 주제 발표에서 데이터 축적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양찬수 연구원은 "남포항과 인천항이 교류하게 될 경우 인공위성 데이터를 통해 축적한 서한만 선박 통행량, 녹조 발생량 등에 대한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다"며 "이외에도 해무 분포, 안전 항로와 같은 중요한 데이터를 축적하는 준비 작업이 선행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북한이 평안북도 대계도·홍건도, 황해남도 룡매도 등 간석지 개발이 한창인 데에 따라 환경 보전과 개발의 조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

김수한 인천연구원 연구위원은 "10·4 선언만 보더라도 북한은 골재채취, 특구개발과 같은 단기적 이익에 매몰될 가능성이 높다"며 "생태계의 보고인 해양에서의 개발과 보존 문제, 시민사회가 받아들일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개발로 갈 수 있을지 고민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윤설아기자 say@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