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市, 연구기구 '서해평화포럼' 창립
기관·학계·활동가등 60여명 참여
文정부 '신경제벨트' 실현방안 연구
인천 남북교류사업 발굴·자문역할
서해 평화도시 조성이라는 인천시의 남북협력사업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연구 기구 '서해평화포럼'이 16일 출범했다. 인천시와 인천연구원은 이날 오후 연수구 송도국제도시 쉐라톤 그랜드 인천호텔에서 서해평화포럼 창립식을 개최했다.
포럼은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에 뜻을 함께하는 기관과 학계, 전문가, 현장 활동가들로 구성됐다. 포럼은 2012~2014년 운영됐던 인천연구원의 서해평화정책포럼 연구성과를 계승하기로 했다. 평화도시 조성을 위한 연구와 정책 제언 활동을 주로 한다.
최원식 인하대 명예교수와 남상민 UNESCAP(아시아 태평양 경제사회위원회) 동북아사무소 부대표, 박제훈 인천대 통일통합연구원장, 장수경 인천겨레하나 집행위원장 등 60여명이 참여하고, 이용식 인천연구원장이 대표를 맡았다. 사무국은 인천연구원이 운영한다.
포럼은 ▲평화경제 ▲평화인문 ▲시민·평화교육을 운영 방향으로 정하고 분야별 분과위원회와 자문단을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문재인 정부가 구상한 한반도 신경제 벨트의 구체적인 실현 방안을 연구하고, 남북 역사문화 동질성 회복을 위한 교류 사업을 찾는다.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평화교육도 실시할 계획이다.
또 평화·통일 관련 국책연구기관, 전국 시·도연구원과 협력망을 구축해 국가 단위 평화협력 사업의 큰 줄기에 지역별 현안 사업이 담길 수 있도록 힘을 모으기로 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이날 창립식에서 "역사적으로 볼 때 한반도에서 일어난 전쟁의 90%가 서해에서 일어났고, 그 희생과 고통은 고스란히 인천 몫이었다"며 "불과 몇 년 전까지 포성이 멈추지 않은 곳도 인천이다. 인천이 평화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고 대화와 협력의 남북관계를 지향하는 이유"라고 말했다.
정세현 한반도평화포럼 이사장(전 통일부 장관)은 '북핵 문제 해결과 한국의 역할'을 주제로 기념강연을 진행했다. 창립식에 이어진 기념 토론회에서는 백준기 통일교육원장이 '한반도 평화체제와 평화도시 조성을 위한 과제'를 주제로 기조발제를 했다.
국제기구를 통한 남북 생태환경 협력, 시민참여의 평화도시 조성, 중앙·지방 협력의 평화기반 조성에 대한 토론이 진행됐다.
이용식 인천연구원장은 "한반도 평화를 앞당기고 지속하기 위해서는 정부뿐 아니라 민·관·산·학 각계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한반도와 서해의 중심에 위치한 인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