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 발간… 시민 62.3% '생소'
제주 등서 혼잡·주차 불편 '경험'
분산유도·교육시스템 구축 제안
"'오버투어리즘'이 뭐예요?"
국민 10명 중 6명이 관광의 부정적 효과인 '오버투어리즘'을 모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이 1일 발간한 '오버투어리즘과 사회적 딜레마'에 따르면 시민 중 62.3%가 오버투어리즘에 대해 들어본 적이 없었다.
오버투어리즘은 관광 수용력 초과로 관광지 지역주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현상을 말한다.
연구원 조사에 따르면 오버투어리즘을 경험한 장소로는 제주도(24.5%)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북촌한옥마을(10.5%), 전주한옥마을(9.5%) 등이 차지했다.
오버투어리즘으로 겪은 불편은 '높은 혼잡도로 인한 관람 불편'(41.4%)이 1순위였고, 긴 대기시간(17.2%), 부족한 주차공간(15.2%) 순이었다.
응답자들은 오버투어리즘이 발생한 원인으로는 'SNS 발달, 개인일상 공유트렌드로 인한 포토존 관광객 쏠림현상'(33.8%), '관광객의 에티켓 문제'(23.8%), '관광객 증가를 예상하지 못한 관광인프라 대비 부족'(19.2%)이 원인이라고 응답했다.
오버투어리즘으로 발생하는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정책은 '관광객 분산유도'(29.7%)와 '관광문화 교육시스템 구축'(28.8%)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수진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관광객 총량 제한, 관광가이드 동반의무제, 입장료 부과 및 인상 등을 통해 관광객 수를 제한하고, 사전예약제 도입, 생활공간 출입을 막는 공간적 이동제한 등 직·간접적 관광객 수 제한정책을 시행하면 오버투어리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
직·간접적 관광객 제한 '오버투어리즘' 극복
입력 2019-09-01 21:34
수정 2019-11-20 14:16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9-02 4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