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시민 삶의 질을 측정하는 '시정 웰빙지표'를 개발해 정책 수립과 우선순위 결정에 활용하기로 했다.

시정 웰빙지표는 시민 생활 수준의 현 주소를 제시할 수 있는 객관적인 통계를 바탕으로 한 시정 수립의 기초 자료다. 행정 수요를 미리 파악해 시민들의 가려운 곳을 긁어주겠다는 취지다. 이 지표를 활용하면 지역·연령·계층별 맞춤 정책의 수립이 가능하다는 게 인천시의 설명이다.

인천시는 인천연구원과 함께 세부 지표 항목 개발에 착수했다. 통계청과 행정안전부가 이미 실시하고 있는 국민 삶의 질 조사와 지역공동체 행복지표 조사, OECD 삶의 질 통계 등 선행 지표를 활용해 인천만의 삶의 질 지표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각종 통계 지표는 ▲시민과 함께하는 시정 ▲더불어 잘사는 균형발전 ▲대한민국 성장동력 인천 ▲내 삶이 행복한 도시 ▲동북아 평화 번영의 중심 등 인천시 5대 시정 목표에 맞게 재배치된다.

이를테면 주거와 교통·구도심 기반시설과 관련한 통계는 '더불어 잘사는 균형발전' 지표로 분류하고, 소득과 소비·자산·에너지 관련 통계는 '대한민국 성장동력 인천' 지표로 활용된다.

인천시와 인천연구원은 3일 시청 공감회의실에서 '인천시 시정웰빙(지역웰빙)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를 위한 토론회를 열어 시정 웰빙지표를 어떻게 도출할지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인천시는 전문가와 시민 의견 수렴을 거쳐 연말까지 시정 웰빙지표를 확정하고 내년부터 활용할 계획이다.

웰빙지표 개발을 맡은 인천연구원 이미애 연구위원은 "주민들이 지역 사회에서 느끼는 행복과 삶의 질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체계가 마련되면 정책 평가는 물론 향후 정책의 우선순위 설정과 대응 방안 마련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했다.

/김민재기자 km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