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연주.jpg
이연주 변호사, 검찰 비판. /이연주 페이스북
 

이연주 변호사가 검찰의 조직문화를 비판했다. 

 

이 변호사는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검찰 따라잡기'라는 글을 올렸다. 

 

해당 글에서 이 변호사는 검찰의 개혁 거부 이유로, "퇴직후 전관예우 보장. 변호사 개업을 목전에 둔 검찰 간부들은 저항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조국 딸 표창장 수사는 국정농단 수사의 출발점이 된 정유라 부정입학처럼 국민의 공분을 유도해 민심을 이반 시키려고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 변호사는 앞서 지난 9일에도 자신의 페이스북에 "검찰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게 해줄 것"이라는 장문의 글을 올린 바 있다. 

 

이 변호사는 윤석열 검찰총장 체제 검찰의 정치적 행보와 검찰 중심의 이기주의적 조직 문화를 비판했으며, 특정 정당에 유리한 쪽으로 재판을 진행한 뒤 국회의원 공천을 받은 공판검사, 특정 기업에 대한 면죄부 수사를 한 뒤 국회의원이 된 검사들을 언급했다. 

 

그는 "이렇게 검사님들의 수사는 상상력이 아주 풍부하다"면서 "춘장님의 상상은 뭐였을까. 문재인 정부를 흔들고 다음해 총선을 흔들고, 쭉 그 기세로 다음 대통령 선고 또한 자기 수중에 넣는, 검찰은 항상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여주니까"라고 비꼬았다. 

 

이어 "원래 검찰은 정권도 국민도 아닌 검찰 자신을 위해서 일할 뿐"이라며 "문재인 정부 들어 국정농단, 사법농단, 삼성바이로직스까지 열심히 조사하니 갑자기 국민의 편이 된 듯한 착시를 가지게 됐지만 원래 그렇다. 그런 착시에 빠져 대왕물고기도 사실은 등이 굽은 줄 보지 못한 것"이라고 비판의 열을 올렸다. 

 

검찰의 고질적인 조직중심주의와 조직이기주의적 행태가 윤 총장 체제에서도 예외가 아니라는 것이다.

 

끝으로 "내가 검찰의 아수라장을 이야기하면 사람들이 깜짝 놀라며 '아니 정의를 지켜야 할 검사들이 왜 이러십니까'라고 한다"면서 "그러면 나는 '자 따라하세요. 검찰의 법률은 항상 밖을 향할 뿐이다. 안을 비추지 않는다'라고 한다. 마구 난장질을 쳐도 처벌받지 않으니 뭐가 허용되고 허용되지 않는지 스스로에 판단하지 않는다"라고 덧붙였다.

 

/손원태기자 wt2564@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