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111201000785200037201

2~4개 동 주민센터 1개로 통합
자치·환경·보안 등 생활 민원
90명 인력 집중투입 '신속처리'

부천시는 2016년 전국 최초로 3개 구청을 폐지한 데 이어 지난 7월부터는 36개 동(洞)을 10개 광역동으로 통합, 중복 기능을 줄이고 남는 인력을 보건과 복지에 투입하는 현장행정을 일궈냈다.

부천시에 따르면 구청을 폐지하고 동의 기능을 강화해 10개 행정복지센터와 26개 일반동 체계로 전환했다. 과도기적 행정체계(시-행정복지센터-일반동)를 완전한 2단계 행정체계(시-광역동)로 바꿔 시민 편의와 행정효율을 높였다.

광역동은 행정체계를 현장 중심형으로 강화하는 것이 골자다. 현 행정복지센터 권역 내 2~4개의 동 주민센터를 1개의 광역동으로 전환해 공무원 증원없이 보강되는 인력 90명을 주민생활에 직결되는 현장행정에 투입했다.

10개 광역동(행정복지센터)은 복지, 인허가 등 235개 시청 사무를 대폭 이관해 '작은 구청'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광역동 도입의 가장 큰 장점은 신속한 민원 처리다. 10개 행정복지센터는 시청에서 이관한 사무를 포함해 주민자치, 도시재생 활성화, 인허가 등록·신고, 청소, 환경, 보안등 관리, 도로 보수 등 주민 밀착형 업무를 수행한다.

또 공장지역을 관할하는 광역동은 공장등록과 기업애로 관리 업무를, 농업지역이 포함된 광역동은 농업자재 업무와 벼 병해충 방제, 농업인 확인업무를 수행하는 등 주거·상업·공업·농업 등 지역 특성에 맞는 행정서비스를 제공한다.

주민자치형 공공서비스로 복지기능도 더 강화됐다. 복지·간호 방문전담인력을 배치해 찾아가는 보건복지서비스를 높이고 10개 광역동 주민자치회 전환에 따라 개별 특성에 맞는 복지서비스를 구축했다.

행정기구 개편에 따른 시민불편 해소를 위해 기존의 동 주민센터는 주민지원센터로 전환했다. 또 청사의 여유공간은 작은도서관 등 문화·복지, 주민자치 기능을 가진 편익시설로 탈바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