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 대북 전문가로 평가되는 윤상현(인천 동미추홀을) 무소속 의원이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해 북한 문제와 외교·통일 분야에 대해 연일 개인 메시지를 내고 있어 관심이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재설'을 제기하며 "조만간 모습을 드러낼 것"이라고 예언한 것이 적중하면서 그의 발언에 무게가 실리는 모습이다.
윤 의원은 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전날 북한군의 GP 조준사격과 관련, '합죽이'가 되고 있는 정부를 질타하며 "크게 방심하면 더 호되게 당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 글에서 북한군의 GP 조준 사격은 "김정일의 정치적 메시지"라며 "나는 전혀 변하지 않았고 변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러니 나와 핵협상을 하려면 더 큰 값을 선(先)지불하라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것을 위해 나는 11월 3일 미국 대통령 선거일까지 도발수위를 계속 높여나갈 것이다. 그리고 '한국정부는 빠지라'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윤 의원은 "GP 총격 도발은 2014년 10월 이후 처음이고, 문재인 정부 들어서도 처음이며 문 정부가 애지중지하는 9·19 남북군사합의를 향한 총격이기도 하다"고 꼬집었다.
그러나 정부대응은 황당하기까지 하다는 것이다. 윤 의원은 "우리 합동참모본부는 '합죽이본부'가 돼버렸다"며 "군이 아무리 청와대 명령을 따른다고 하지만, '최정예 GP 인민군의 오발탄'이라는 합참의 적군 엄호는 황당하다 못해 서글프다. '다 같이 합죽이가 됩시다, 합!'은 유치원에서 할 놀이이지 대한민국 군 워룸에서 할 일이 아니다"고 경고했다.
윤 의원은 4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전날 북한군의 GP 조준사격과 관련, '합죽이'가 되고 있는 정부를 질타하며 "크게 방심하면 더 호되게 당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 글에서 북한군의 GP 조준 사격은 "김정일의 정치적 메시지"라며 "나는 전혀 변하지 않았고 변하지도 않을 것이다. 그러니 나와 핵협상을 하려면 더 큰 값을 선(先)지불하라라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것을 위해 나는 11월 3일 미국 대통령 선거일까지 도발수위를 계속 높여나갈 것이다. 그리고 '한국정부는 빠지라'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이어 윤 의원은 "GP 총격 도발은 2014년 10월 이후 처음이고, 문재인 정부 들어서도 처음이며 문 정부가 애지중지하는 9·19 남북군사합의를 향한 총격이기도 하다"고 꼬집었다.
그러나 정부대응은 황당하기까지 하다는 것이다. 윤 의원은 "우리 합동참모본부는 '합죽이본부'가 돼버렸다"며 "군이 아무리 청와대 명령을 따른다고 하지만, '최정예 GP 인민군의 오발탄'이라는 합참의 적군 엄호는 황당하다 못해 서글프다. '다 같이 합죽이가 됩시다, 합!'은 유치원에서 할 놀이이지 대한민국 군 워룸에서 할 일이 아니다"고 경고했다.
/정의종기자 je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