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주,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새해를 맞아 실시된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렸다.
11개 중 8개에서 비교적 앞섰는데 일부 여론조사에선 단독 1위를 기록했다. 한겨레신문이 케이스탯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2월 27~29일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선 23.8%를 기록해 다른 주자들을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p) 밖에서 따돌렸다. 윤석열 검찰총장은 17.2%,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5.4%였다. 조선일보·TV조선이 칸타코리아에 의뢰해 지난 12월 27~30일 성인 1천1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선 18.2%를 얻어 이 대표(16.2%), 윤 총장(15.1%)과 3강 구도를 형성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송년사와 신년사를 통해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다짐했다.
송년사에서 "위기를 통해 다시 일어설 용기와 지혜를 얻는다. 밤이 어두울수록 별은 더욱 빛난다. 올 한 해 보여준 빛나는 감동은 대동세상으로 한 걸음 더 나아갔다는 징표"라고 밝혔다. 신년사에선 "모래 위에 세운 집이 금세 무너지는 것처럼 격차와 불균형에 따른 저성장과 경기 침체가 만연한 구조적 환경을 그대로 둔다면 우리의 미래는 위태로울 수밖에 없다. 대안은 있다. 공동체 전체가 함께 일군 사회적 부를 나눠 누구나 인간다운, 최소한의 삶을 누릴 수 있도록 경제적 기본권을 확대해야 한다"며 코로나19 이후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해 경제적 기본권을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화폐의 경제적 실효성을 다시금 강조했다.
지방행정연구원과 조세재정연구원은 지역화폐의 실효성에 대해 정반대의 결론을 냈는데 이를 "연구 대상 기간과 연구 방향의 차이 때문에 결론에 차이가 생겼다"고 분석한 후 "어느 결과가 맞는지는 현장의 국민들이 체감으로 이미 판별하고 있을 것이다. 보편적 지역화폐 지급이 경제 활성화와 양극화 완화, 소상공인 지원 효과가 크고 국민이 요구함에도 국책연구기관을 동원해 진실을 왜곡하며 보수 언론과 일부 정치인들이 선별 현금 지급을 주장하는 이유가 대형유통기업의 이익 때문이 아닌가 하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고 주장했다.

경기도청 고위직 인사를 단행했다.
지난 7월에 예고한 대로 다주택 보유 여부를 인사에 처음으로 적용했다. 이에 대해 "주권자인 국민을 대리하는 공직자는 국민에 대한 무한봉사자이고 부여한 권한을 사익을 위해 남용해선 안 되며 또 그렇게 오해 받아서도 안 된다. 공직자가 기득권자의 횡포에 부화뇌동하거나 부정부패하면 나라가 망했던 게 역사적 사실"이라며 "고위공직자들의 비주거용 주택 소유를 제한하는 것은 그래서 반드시 필요하다. 다주택을 보유하는 것도 권리이지만 공직자 인사에서 다주택 (보유)를 감안하는 것 역시 인사권자의 재량권"이라고 설명했다. 또 장기 교육에 들어가는 고위 공직자들은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에 배치하면서 "이것도 국민의 대리인이자 피용자인 공무원들의 직무"라고 했다.
경기도 특별조사를 거부한 조광한 남양주시장을 고발했다.
이에 대해 "혐의가 없는데 감사하는 것은 위법이지만 혐의고 있고 단서가 있으면 감사해야 한다. 상급기관이 하급기관을 감사하는 것은 당연한 일로 오히려 적법한 공무 집행을 부당한 이유로 거부하고 공격하는 게 범죄 행위"라고 설명했다. 남양주시장 역시 도가 무리하게 남양주시를 감사했다며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 등으로 이 지사를 고발했다.
/강기정기자 kangg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