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소득 관계 짚은 '21세기 자본' 등
요약·압축… 불평등 역사 새관점 제시'

■ 평등의 짧은 역사┃토마 피케티 지음. 전미연 옮김. 그러나 펴냄. 324쪽. 2만2천원

'21세기 마르크스'로 불리는 토마 피케티의 역작 '21세기 자본'(2013)은 사회·정치학도들의 책장에 하나씩 꽂혀 있는 대표적인 벽돌책이다. 이 책에서 피케티는 무수한 데이터를 근거로 자본과 소득의 상관관계를 짚는다. 그리고선 사회 불평등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피케티 지수'라는 개념을 제시한다. 이는 국민 순자산을 순소득으로 나눈 값으로, 쉽게 말해 노동 소득보다 부동산 같은 자산 소득이 상승할 때 이 수치가 높아진다는 것이다.
피케티가 전하는 이런 의미 있는 분석에도 불구하고, 그의 책들은 너무 두껍고 무겁다. 역사와 경제 등 방대한 데이터를 다루는 탓이다. 피케티의 신간 '평등의 짧은 역사'는 대중 독자들의 아쉬움을 해소해 줄 목적으로 집필한 책이다. 불평등에 천착했던 '21세기 자본'을 비롯해 앞선 그의 저서 '20세기 프랑스 상위 소득'(2001)과 이후에 나온 '자본과 이데올로기'(2019)를 압축했다.
서문에서 피케티는 "이 아담한 책은 그동안 만난 독자들이 내게 꾸준히 해왔던 요구에 대한 응답이기도 하다. … 아무리 의지가 있는 시민 독자라도 선뜻 읽을 용기를 낼 수 없었다. 그래서 요약을 하고 분량을 줄여야겠다고 생각했고, 이 책이 바로 그 시도의 결과물"이라며 "나는 이 책에서 그동안 내 연구가 촉발한 다양한 논의를 되짚는 동시에 불평등의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전한다.
피케티의 말마따나 '아담한 책'이기는 하나, 기존의 분석을 요약하는 데 그치지 않고 새로운 주장도 제시한다.
그는 이번 책에서는 사회·경제·정치적으로 평등 확대를 향한 인류의 장기적인 흐름이 있었다는 점을 논증한다. 이를 통해 이런 평등을 향한 여정이 21세기에도 꾸준히 이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평등을 향해 진보해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순과 불평등도 결코 빼놓지 않는다.
무게가 가벼워진 만큼, 가방에 넣고 다니며 찬찬히 일독해볼 만한 분석이다.
/유혜연기자 pi@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