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둔 가운데 18일 오전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책자형 선거공보물 발송 작업을 하고 있다. 2025.5.18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제21대 대통령선거를 앞둔 가운데 18일 오전 수원시 권선구 금곡동 행정복지센터에서 관계자들이 책자형 선거공보물 발송 작업을 하고 있다. 2025.5.18 /최은성기자 ces7198@kyeongin.com

21대 대선 후보들의 공약들 가운데 핵심은 부산 관련 공약이다. 수도권 일극체제 극복과 국토 균형 발전은 2002년 대선에서 당시 노무현 후보가 ‘세종 행정수도 설치’ 공약을 내건 이후 모든 선거 공약의 일반적인 경향이긴 하다. 그렇다고 해도 이번 대선처럼 구체적이고 경쟁적으로 부산 발전 공약을 제시한 적은 없었다.

단연 눈에 띄는 건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 공약이다. 지난 14일 부산을 찾은 이 후보는 해수부와 관련 공공기관의 단계적 부산 이전, 부산해사법원 신설, 북극항로 개척을 위한 해운회사 부산 유치 등을 약속했다. 이 후보보다 하루 앞서 부산을 찾은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한국산업은행 본점을 부산으로 이전해 ‘글로벌 허브도시’를 조성하겠다고 선언했다. 개혁신당 이준석 후보도 부산에 본점을 두는 해외 증권사에 세제 혜택을 주는 특별법을 통해 부산을 ‘금융특구’로 키우겠다고 공약했다.

이처럼 각 당의 대선 후보들이 부산에 집중하는 건 이 지역을 이번 대선의 승부처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4월에 치러진 22대 총선에서 더불어민주당 부산 후보들의 평균 득표율은 45.14%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2012년 19대 총선 평균 득표율 34.6%보다 10.54%p 증가한 수치다. 더불어민주당은 이런 최고 득표율을 재현하고 싶고, 그런 만큼 국민의힘은 반드시 사수해야 할 곳이 됐다.

이 과정에서 인천을 비롯한 수도권은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불이익을 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이재명 후보가 당내 경선 과정에서부터 일찌감치 부울경 메가시티를 대한민국 해양 수도로 만들겠다며 내건 공약이 인천지역에 몰고 온 파문이 크다. 인천해사법원 유치와 극지연구소 존치를 바라는 인천의 뜻과 정면으로 배치될 수 있는 공약들이기 때문이다. 경기남부의 반도체·첨단기술 메가클러스터 조성을 제외하곤 주목할 만한 공약이 보이지 않는 경기도로서도 경계해야 할 상황이다.

수도권 일극체제 극복과 국토 균형 발전은 대의에 있어선 거스를 수 없는 명분이다. 하지만 지금껏 보아온 경기북부 및 인천 도서지역의 소외와 불이익처럼 균형 발전의 실현 과정에서 수도권 역차별이라는 심각한 부작용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지 오래다. 대선 후보들의 ‘부산 공약’을 그냥 손 놓고 지켜볼 수만은 없다.

/경인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