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확정도 되지 않은 경기도청 고위직 인사 설(說)에 비고시 출신 공무원들의 불만이 여기저기서 터져 나오는 데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
민선 2기때부터 시작된 `고시 출신 공무원 우대 인사'가 민선3기때도 그대로 유지되면서 비고시 출신 공무원들은 설자리를 점차 잃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16%가 도청 고위직 장악=5급 이상 경기도청 공무원 480명중 고시 출신 공무원은 16%인 77명에 불과하다. 그러나 도 본청 실·국장(12명)중 기술·소방직 실·국장과 공석인 투자진흥관을 제외한 7명에서 고시 출신 공무원은 5명이나 된다. 또 승진 1순위인 각 실·국 주무과장과 주무계장 역시 고시 출신 공무원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 같은 현상이 빚어지게 된 원인은 민선2기때부터 시작된 `고시 우대 인사'가 민선3기에서도 그대로 유지됐기 때문이다.
민선2기 당시 임창열 전 지사는 매년 행정고시 출신 사무관들을 4~5명씩 수용했다. 그 것도 모자라 현 여인국 과천시장, 송영건 도 문화관광국장 등 경기도와 무관한 3급 이상 공무원들은 중앙부처로부터 받아들여 국장급에 중용했다. 또 신광식 전 문화관광국장도 정책보좌관으로 수용됐다.
이는 민선3기 때도 마찬가지였다. 행정고시 출신 사무관 수용인원은 2~3명으로 줄었지만 지방고시 출신 사무관들이 대거 도에 진입했다. 8회까지 끝난 지방고시 38명중 28명이 현재 도에서 근무하고 있다. 또 현 유재우 환경국장, 윤성균 보건복지국장 등도 중앙부처에서 받아들였다.
결국 민선2·3기를 거치면서 도 고위직 인사들은 상당수가 고시 출신 공무원들로 채워졌다.
◇`선 고시-후 비고시' 인사=#지난 7월 1일자로 4급에서 3급으로 직급이 상향된 양주시 부단체장에 지난해 10월 부임한 이한규 부시장이 그 자리에서 승진했다. 2000년 지방서기관인 이 부시장보다 1~2년 앞선 4급 지방서기관이 4명이나 있다. 모두 비고시 출신 공무원이다. 당연히 비고시 출신 공무원으로 교체했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했다.
#지난 2월 도가 단행한 인사에 한 비고시 출신 공무원이 언론에 기고를 통해 인사의 문제점을 지적해 공직사회가 파장이 일었다. 원인은 교육 갔다온 예창근(당시 3급)씨를 2급 자리인 안산 부시장에 직무대리로 승진 발령했기 때문이다. 부이사관을 단지 3년이란 승진소요 연수가 안됐다. 고시 출신 공무원이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고시 위주의 불합리한 인사 사례는 민선 2·3기를 거치면서 비일비재하다. 도 고위직을 대거 차지한 고시 출신 공무원들이 인사 결재 라인에 포진하면서 `선 고시-후 비고시' 인사 패러다임을 만들어 놓았다. 때문에 비고시 출신 공무원들이 발탁돼 중용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게 도의 현주소다.
이에 대해 비고시 출신 공무원들은 “고시 위주의 인사를 하다보니 비고시 출신 공무원들은 30년 넘게 일해도 부이사관(3급) 달고 퇴임하기가 일쑤”라며 “희망이 안보이는 조직에서 열심히 일한다는 것은 거짓말이고, 복지부동하는 것은 당연한 것 아니냐”고 도 인사쇄신을 통한 공직사회 분위기 혁신을 요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