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통신위원회가 통신 서비스 가입자 통계 항목을 다변화하면서 가입자 점유율 집계방식을 놓고 이통사들간 의견이 충돌하고 있다.

   쟁점은 이동통신 가입자 점유율을 계산할 때 '와이브로' 가입자를 포함하느냐다. 와이브로 가입자를 포함하면 SK텔레콤의 점유율이 50% 이하로 내려가게 된다.

   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방통위는 매달 '이동전화'와 '와이브로'를 분리해 가입자를 집계해왔지만, 지난달부터 '이동전화'와 '휴대인터넷(와이브로)'을 '이동통신 서비스' 항목으로 묶는 새로운 통계 분류 방식을 도입했다.

   방통위는 "롱텀에볼루션(LTE), 이동통신 재판매(MVNO) 등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함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통계 항목을 개편했다"며 "와이브로는 LTE와 유사한 데이터 기반 4세대(4G) 서비스이기 때문에 이동통신 서비스로 편입했다"고 밝혔다.

   방통위는 "사용자의 정보 활용도를 높이고자 가입자 점유율은 발표하지 않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전까지 방통위는 와이브로를 제외한 이동전화 가입자를 기준으로 이동통신 3사의 점유율을 발표해왔다. 작년 3사의 가입자 점유율은 수년간 SK텔레콤 50.5∼50.6%, KT 31.5∼31.7%, LG유플러스(U+) 17.7∼17.8%로 굳어져 있었다.

   작년 12월까지 국내 와이브로 가입자는 SK텔레콤 5만5천330명, KT 74만4천134명. 와이브로를 포함한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를 기준으로 하면 SK텔레콤의 점유율은49.9%로 떨어지고 KT의 점유율은 32.4%로 상승하게 된다.

   KT는 방통위의 새 통계 지침을 반기고 있다. KT 관계자는 "통신의 패러다임이 음성에서 데이터로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더욱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와이브로를 포함한 가입자 점유율을 사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KT는 특히 앞으로 모바일 인터넷 전화(mVoIP)가 활성화되고, 와이브로와 3세대(3G) 및 LTE 간 번호이동을 개방하는 방통위 정책이 시행되면 와이브로의 영향력을 무시하지 못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면 SK텔레콤은 "통계의 일관성을 지키지 않으면 시장에 혼란을 줄 수 있다"며기존 점유율 산정 방식을 지키는 게 옳다는 입장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지금의 와이브로는 보조 망일 뿐"이라며 "와이브로를 포함해 점유율을 계산하면 스마트폰과 함께 데이터 보조용으로 와이브로를 쓰는 사람을 2명의 가입자로 판단하는 문제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이통사들이 점유율 산정 방식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은 점유율이 시장 전략의 잣대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1위 사업자는 점유율을 떨어뜨리지 않으려고, 후발 사업자들은 점유율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마케팅을 펼쳐왔다.

   또 기업 이미지 구축과 투자자들의 판단, 통신시장 연구자들의 분석 등에도 영향을 미치며, 통신시장 규제의 기준이 되기도 한다. 방통위는 매년 매출 점유율과 가입자 점유율, 주파수 제약 등 경쟁 요소를 평가해 시장지배적 사업자를 선정, 엄격한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시장이 급변하는 상황에서 어떤 방식으로 통계 자료를 활용해규제를 가해야 하는지 논의가 오가고 있지만, 아직 정해진 바는 없다"고 말했다.

   한편, 방통위가 통계 기준을 다양화한 만큼 이동전화나 와이브로 등에 얽매이지말고 시장 점유율을 다양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방통위는 통계항목을 개편하면서 스마트폰·태블릿PC·MVNO·사물지능통신(M2M)·선불 등 서비스별 가입자 수를 공개하기 시작했으며, 이들 자료를 조합하면 MVNO나 M2M를 제외한 순수 이동전화 가입자 점유율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