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이 선택형에 대한 유보 논란 등으로 벌써부터 혼란이 가중돼 예비 수험생들의 마음은 더욱 불안하기만 하다. 전문가들은 예비 고3 수험생들이 시기별 전략을 세워 내신·수능·입시 등 대입 전형에 반영되는 요소를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1월과 2월중 겨울방학·1학기·여름방학·2학기 등 4단계로 시기를 세분화해 학습 계획과 목표 성적을 세우면 좋다고 설명한다.

달라진 수능에 대한 이해도 필수다.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의 명칭이 국어, 수학, 영어로 각각 바뀌고, A형과 B형으로 시험 난이도가 나뉜다. 3~6월은 실전연습과 위치 점검의 시기다. 모의고사를 통해 자신의 약점을 파악하고 보완해야 한다. 시험 후에는 자신의 위치를 냉철히 분석해 목표대학·학과를 정하는 것이 좋다. 6월 수능 모의평가는 그 해 수능의 출제경향을 예고하는 시험이므로 집중적으로 분석해 취약 부분을 공략해야 한다. 특히 수시모집은 3학년 1학기 성적까지 반영돼 교과 성적 관리가 중요하다. 7~8월은 고3 수험생활 중에서 가장 공부를 많이 하는 시기다. 수능 전 100일을 기점으로 학습 계획과 입시 전략을 재점검해 새로운 목표를 세우면 좋다.

9월부터 시작하는 수시모집 지원 여부도 결정할 시기다. 총 6회로 제한되는 지원 기회를 최대한 활용해 구체적인 지원 계획을 세우고, 지원 대학에 맞는 대학별 고사 준비도 병행해야 한다. 입학사정관제 원서접수도 9월에 한다. 지원하려는 학생들은 시간적 여유를 갖고 틈틈이 추천서와 자기소개서를 준비하는 것이 좋다.

9월부터 수능시까지는 실전 감각을 최대한 끌어올려야 한다. 정리와 문제풀이를 병행하며, 실수를 줄여나가야 한다.

/김태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