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삼성전자, 중국 휴대전화 시장서 13.5% 2위…샤오미에 밀려. 5일 오후 베이징에 위치한 대형 전자제품 체인점인 바이나오후이(百腦匯)에 전시된 샤오미 스마트폰. 샤오미는 최근 LG전자와 화웨이를 제치고 세계 3위 스마트폰 업체로 부상했다. /연합뉴스 |
삼성전자가 중국 휴대전화 시장에서 샤오미에 밀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일 미국의 시장조사업체 스트래티지애널리틱스(SA)는 3분기 중국 휴대전화 시장에서 샤오미가 시장점유율 15.4%를 기록, 13.5%의 삼성전자를 제쳤다고 발표했다.
스마트폰만 비교하면 샤오미의 시장점유율은 16.2%, 삼성전자의 시장점유율은 13.3%다.
샤오미가 피처폰을 만들지 않는 스마트폰 전문회사라는 점을 고려하면, 샤오미의 판매량이 삼성전자의 스마트폰과 피처폰 판매량 합계보다 더 많은 셈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샤오미의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이 6.4%에 불과했고 삼성전자의 시장점유율은 21.6%에 달했다. 불과 1년 사이에 샤오미가 놀랍게 성장한 모양새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올해 1분기 19%, 2분기 14.3%를 기록한 데 이어 3분기에 13.3%로 감소하는 추세로, 계속 이어진다면 앞으로 두자릿수 점유율을 유지할 수 있을지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다만 삼성이 중국 시장에 갤럭시A3·A5를 내놓는 등 중저가 중심으로 제품 진용을 재편하는 전략이 맞아떨어질지는 지켜봐야 할 전망이다.
애플도 중국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이 4.7%로 올해 들어 최저를 기록했다. 삼성전자와 애플의 점유율을 합하면 18%로 역시 2011년 이후 최저였다.
특히 레노버·화웨이·쿨패드 등 기존 사업자들의 점유율은 떨어지고 비보·오포 등 이른바 중국의 '2세대 스마트폰 제조사'의 점유율이 큰 폭으로 올랐다.
2세대 제조사들은 가격 경쟁력뿐 아니라 기술력에서도 세계적인 스마트폰 제조사들과 큰 차이가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만약 삼성전자가 중국 시장에서 이들의 추격을 막지 못하면, 중국 업체들이 가장 빠른 이동통신망을 쓰고 가장 높은 가격의 스마트폰을 파는 등 스마트폰 시장의 상징이 된 국내 시장에 진출하게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로 화웨이는 알뜰폰을 통해 국내 시장에 이미 진출한 상황이고, ZTE도 국내 시장에 높은 관심을 보이는 것으로 알려진 상태다. 특히 최근 진행한 팬택의 인수전에도 중국 업체가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