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위성3호, 우주 파편과 충돌 위기 비상. 사진은 지난 2013년 11월21일 오후 1시10분(한국시각 오후 4시10분) 국내 첫 적외선 천문관측 위성인 과학기술위성 3호(STSAT-3)가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되는 모습 /연합뉴스=항공우주연구원

과학기술위성3호, 우주 파편과 충돌 위기 비상

우리나라가 발사한 과학기술위성 3호가 4일 오후 9시 30분께 미국·러시아 통신위성 충돌 파편에 23m까지 근접해 그린란드해 상공에서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미래창조과학부가 3일 밝혔다. 

미래부는 미국 합동우주작전본부(JSpOC)가 2일 오후 공군 우주발전처와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에 충돌위험 정보를 알려왔다며 KAIST,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함께 충돌위험대응팀을 구성, 대응방안을 수립했다고 말했다.

과학기술위성 3호는 지난해 9월에도 옛 소련 인공위성의 파편과 44m까지 근접하는 위기를 무사히 넘겼으나 이번에는 최근접거리가 23m로 더욱 가까워 충돌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미래부는 충돌 예상시각 전후로 예정된 위성과의 교신 시간을 활용해 위성의 자세를 제어하는 등 충돌 위험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충돌 위험 물체는 2009년 2월 790㎞ 상공 궤도에서 충돌한 미국의 이리듐 33호 위성과 러시아 코스모스 2천251호 위성에서 생긴 20㎝ 정도 크기의 파편으로, 이 충돌로 발생한 파편들이 넓게 퍼지면서 인공위성들을 위협하고 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