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350만명 규모 예상
서해5도 등 명품섬 조성
8대 전략산업 ‘집중육성’
심의후 11월께 최종확정
15년 뒤 인천의 모습을 미리 그려볼 수 있는 ‘2030 인천시 도시기본계획’의 윤곽을 담은 계획안이 마련됐다.
인천을 ‘사람 중심의 국제·문화·관광도시’로 만들기 위해 추진할 중점 전략 등이 이번 계획안에 담겼다.
인천시는 이 같은 내용의 2030 인천시 도시기본계획안을 마련하고, 일선 기초단체와 전문가 등을 대상으로 의견수렴에 나설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인천시는 우선 2030년 인천의 인구를 350만 명 규모로 예상했다. 현재 인천의 2025 도시기본계획의 계획인구보다 10만명 많은 것이다.
인천시는 인천을 강화, 영종, 옹진, 서북(서구), 동북(부평·계양), 중부(중구·남구·남동구 일부), 남부(연수구·남동구 일부) 등 7개 생활권역으로 나눠 지역별 특색에 맞는 개발 정책을 펴겠다는 구상을 이번 계획안에 담았다.
또 도시재생축(영종~동인천~구월~부평), 미래성장축(검단~청라~동인천~송도), 평화벨트축(강화~영종~송도), 국제기반축(영종~청라~검암~계양) 등 4개의 축을 골자로 인천을 성장시키겠다는 계획을 제시했다.
인천시는 항공·관광·로봇·바이오 등 8대 전략산업 육성, 시가지 야간경관 조성, 특화공원·거리조성, 친수공간 조성, 인천중심 교통체계 구축, 경인고속도로 주변 지역 활성화, 도서접근체계 확충 등을 중점 추진하겠다고 했다.
특히 ‘명품 섬, 가고 싶은 섬’ 조성을 위해 강화, 용유, 서해5도, 영흥, 백아, 덕적 등을 권역으로 나눠 특색있는 볼거리를 즐길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이번 계획안엔 ‘검단~장수 간 도로’ 신설계획이 포함됐다.
검단~장수 간 도로 신설계획은 인천 녹지 축 훼손 논란이 불거져 현재 2025 도시기본계획 수립 과정에서 제외됐던 내용이다. 논란이 일 전망이다.
인천시는 시민 공청회, 정부부처 협의,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 관련 절차를 거쳐 늦어도 11월께 이번 2030 도시기본계획을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이현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