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 28개 회원국 중 15개국에서 유전자조작(GMO) 작물재배를 금지하기로 결정했다. EU주도국인 독일·프랑스·영국은 물론 오스트리아·이탈리아·네덜란드 등이 동참한 것이다. 종주국인 미국에서조차 인조농작물을 꺼리는 의견이 점증하고 있다. 안전성 논란이 끊이지 않는 GMO먹거리들이 선진국 식탁에서 사라질 날도 머지않아 보인다.
1996년 최초로 유전자재조합 옥수수가 상용화된 이후 세계적으로 GMO작물 재배면적이 비약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작물의 종류 또한 점차 다양해지고 있다. 5대 GMO작물인 콩·옥수수·면화·사탕무 외에도 쌀·감자 등이 새로 선보이고 있는 것이다. 품질개선에도 열을 올린 나머지 제초제 내성 및 해충 저항성 강화에 추가해서 최근에는 비타민 함량 강화, 트랜스지방산 감소, 가뭄 및 식물병 등에 내성이 강한 유전자변형 작물들을 선보이고 있다. 국내에서도 가뭄에 잘 견디는 GMO쌀 등의 기능성 농작물 개발이 한창이다.
서민들의 밥상과 어린이 간식거리 안전에 비상이 걸렸다. 대두와 옥수수의 내수는 거의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데 두 품목의 GMO비중이 각각 77%와 52%이니 말이다. 소·돼지·닭 등의 사료 중 GMO비중이 특히 높은 점은 설상가상이다. GMO옥수수 재배용 라운드업(Roundup)제초제는 불임·암·파킨스씨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GMO를 섭취한 동물들의 장기 기능에 이상이 생기고 수명도 줄어들었다는 실험결과도 나왔단다.
한국은 유전자조작 농산물 및 이를 원료로 한 가공식품에 GMO표시를 의무화했다. 그러나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유전자변형식품 등의 표시기준’이 화근이다. GMO농수산물을 원료로 사용했더라도 가공 후에 GMO DNA 혹은 GMO단백질이 남아있지 않을 경우 GMO표시의무를 면제해 주기로 한 것이다. 잔류물 검출방법조차 미비해 위반사례를 거의 적발할 수 없었다. GMO사료로 키운 소와 돼지·닭고기 등에 대해서는 GMO표시에서 아예 제외한 것은 점입가경이다. 소비자들의 알권리 요구가 갈수록 비등했음에도 정부는 십수년 간 방치했다. GMO는 중금속이나 잔류 농약보다 위험성이 더 크다. 세계최대의 유전자변형식품 수입국에 부합하는 제도개선을 당부한다.
소비자 중심의 GMO 먹거리 대책 마련해야
입력 2015-10-04 22:21
수정 2015-10-07 17:5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10-05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