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구 획정과 여야의 공천룰을 둘러 싼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선거구 획정을 위한 여야 원내대표와 수석부대표의 회동이 있었으나 합의를 이끌어내지 못했다. 게다가 새누리당의 공천룰을 논의하기 위한 특별기구와 새정치민주연합의 공직자선출평가위원회의 인선을 둘러싸고도 양당 내부의 조율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공천룰과 선거구 획정은 다른 사안임에도 같이 맞물리면서 정치권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다.

선거구 획정은 아직 지역구와 비례대표의 비율을 정하지 못하고 있으나 이미 246석의 현재 지역구를 유지하자는 쪽으로 선거구획정위원회의 의견이 모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여·야의 농어촌지역 출신 의원들의 반발이 거세 분구가 예상되는 수도권 등 대도시 지역구만 늘릴 수 만도 없는 실정이다. 대도시 지역구 증가를 염두에 두고 비례대표를 줄이더라도 농어촌지역구를 줄일 수 없다는 새누리당과 비례대표의 숫자를 현행으로 유지하자는 새정치연합의 주장이 워낙 팽팽히 맞서서 선거구획정 법정처리기한 내에 합의를 도출할 가능성이 높지 않다.

지난 17대 총선에서 당시 인구편차를 3대 1로 맞추라는 헌재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불과 총선을 한 달여 정도 앞둔 시기에 선거구 획정이 이루어진 적도 있다. 이번에도 현재와 같은 상황이라면 2004년도 상황이 재현되지 말라는 법도 없다. 의원 정수를 늘리지 않으면서 지역구 인구편차를 2대 1로 맞추기 위해서는 농어촌의 상대적으로 인구가 적은 지역이 통폐합될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농어촌지역구 축소가 불가피하다. 이것도 어렵다면 인구 상한과 하한을 조정하는 방법을 통해서 출구를 모색해야 한다. 아니면 솔직하게 국민들께 이해를 구하고 현재 거론되는 10석 안팎의 농어촌지역구 축소 지역을 살리기 위해 의원 정수를 늘리는 출구전략도 고민해야 한다.

국정감사가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어도 여·야는 국정감사나 민생 법안에 대해서 눈곱만치의 관심도 없는 듯하다. 아무리 선거구획정이나 공천룰이 국회의원들에게는 사활적이라고 하더라도 모든 건 정도가 있는 법이다. 국민들이 언제까지 국회의원들의 밥그릇 싸움을 지켜보아야 하는지 답답할 뿐이다. 여·야는 이제 국민 무서운 줄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