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관광행정과 인천관광협회의 비리가 목불인견이다. 인천시로부터 사업보조금을 받아 사용하고 있는 인천관광협회가 공금의 일부를 협회장선거비용 뿐 아니라 공무원의 뇌물 자금으로 횡령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최근에는 인천시 관광진흥과 직원이 중국인 관광객 상대 상설공연 ‘비밥’업무를 담당하는 업체로부터도 수천만원의 리베이트를 받은 정황을 포착해 수사범위를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인천관광협회의 부실운영과 비리는 회장선거 과정에서 드러났다. 인천관광협회 현 회장 A씨는 2012년에 실시된 회장선거에서 공탁금 2천만원을 협회 공금에서 사용한 것으로 드러났고, 빠져나간 회장선거비용을 채워넣기 위해 사업비인 관광안내소 직원 교육비를 전용해 왔다.
비리가 결과적으로 조직운영의 부실을 초래해온 것이다. 사정이 이런데도 인천관광협회는 공식적인 입장표명을 하지 않고 있다. 지도 감독기관인 인천시는 지난 8월과 9월에 걸쳐 두 차례 이상 협회에 운영부실에 대한 소명 기회를 줬지만 회장의 개인적인 각서만 제출됐을 뿐 공식적인 입장은 접수되지 않은 실정이다. 연간 12억원 이상의 시비를 지원받아 운영되는 기관이라 하기 어렵다.
이 같은 인천관광협회의 비리는 인천시 관광진흥과 공무원과의 결탁으로 수년간 계속돼 온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인천시 공무원 B씨는 인천지역 관광 상품업무를 담당하면서 업체에 위탁사업을 배정해 준 대가로 업체별로 수천만원의 뇌물을 받아 챙긴 것으로 알려졌다. 위탁업체를 감독해야 할 인천시 공무원과 업체가 이권으로 결탁해온 셈이다.
인천관광협회와 인천시 소속 공무원 간 비리, 인천시의 관리부실 문제로 애꿎은 관광안내사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 일선 관광안내소 직원의 월급은 물론 수천만 원대의 4대 보험금까지 밀리는 등 관광안내사들이 경제적 고통을 겪고 있다. 인천관광의 최일선이라 할 수 있는 관광안내소가 파행 운영되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시가 관광활성화를 내세우고 ‘유커’유치를 위해 노력한다 한들 제대로 추진될 리 없다. 인천시는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인천시와 관광공사, 관광업체로 이어지는 관광행정 시스템부터 치밀하게 점검해야 할 것이다.
[사설] 환골탈태해야 할 인천시 관광행정
입력 2015-10-07 20:38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10-08 17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