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舊)도심을 개발하는 도시재생 사업이 활기를 띄게 될 전망이다. 경기도가 그간 대규모 전면 개량사업으로 추진하던 도시재생 사업을 소규모 생활권 개선사업으로 전환키로 했기 때문이다. 도내에 산재한 구 도심은 도시 주거 요건의 기본인 상하수도가 낡고 건축물도 20년이상돼 주거생활의 불편은 물론 도시미관을 크게 훼손해 재생사업이 불가피하다. 상수도관이 노후화돼 누수율이 높고 잦은 상수관 파열로 주민 생활에 불편이 크다. 또 상수도 시설이 제대로 갖추어 있지 않아 식수 해결에 어려움을 겪는 곳도 많다. 하수도의 경우도 배수관이 낡아 우기마다 수해를 입는 등 피해가 크다. 비좁은 도로와 낡은 건축물은 피폐한 생활환경으로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 도시재생 사업으로 환경을 개선해야 할 필수요건들이다.

현재 도내 31개 시·군가운데 구리와 동두천시는 쇠퇴지역이 75%를 넘고 있다. 읍·면·동 10개중 7~8곳이 도시재생 사업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 광명시와 부천·안양시, 연천군 등도 60%이상이 쇠퇴 지역으로 재생사업이 시급하다. 쇠퇴지역은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 특별법’ 규정에 의해 최근 30년간 인구가 20% 감소됐거나 5년간 3년이상 연속 총 사업체 감소, 20년 이상 건축물 50% 이상 지역중 2가지 이상을 충족한 지역을 말한다. 경기도는 그간 도시재정비를 위해 도내 23곳을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 도시정비 사업을 전개해 왔으나 사업 전개에 따른 주민들의 호응도가 낮고 비용부담에 한계가 있어 대부분 실패로 돌아갔다. 충분한 주민 인식이 없는 가운데 사업을 서둘러온 탓이다. 지금은 겨우 10곳만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같은 재정비촉진지구의 실패로 도시재생 사업을 수행하는 공공기관에 대한 주민들의 불신만 높아졌다. 이에따라 도는 내년에 도시재생지원센터를 설립, 주민 주도형 도시재생 사업을 펼칠 방침이라고 한다. 기존 건물을 존치하면서 상·하수도 등 기반시설을 개선해 실거주 주민들의 삶의 질을 조금씩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주민 생활에 불편한 점을 고치고 지역의 역사와 전통문화가 함축된 소규모 생활권 개발에 역점을 둔다고 한다. 주민들의 의견이 충분히 반영되는 사업이어야 한다. 서둘러선 안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