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적지역이란 특수성때문에 낙후됐던 경기북부지역의 획기적인 발전 모델이 나왔다. 남경필 도지사는 양주 경기섬유지원센터 컨벤션홀에서 있었던 ‘도민과 함께하는 경기북부 희망이야기’ 정책 콘서트에서 경기북부 10개년 발전계획을 밝혔다. 그간 경기도가 내놓았던 간헐적인 개발 프로그램과는 달리 구체적이고 현실성 있는 개발 모델이다. 의정부와 고양, 파주, 구리, 남양주, 가평, 연천, 양주, 동두천 등 10개 시·군이 4개 권역으로 나뉘어 특화 발전을 꾀한다는 것이다. 통일산업경제발전존(ZONE), 북한강문화예술존, 통일생태평화존, 북부발전신성장거점존 등 4개 특화권역으로 나눠 개발하는 프로그램이다. 지역 특색에 맞는 권역별 특화사업이 전개된다.

고양과 파주가 속한 통일산업경제발전존은 환경·디자인 주도의 고용친화적 경제발전을 위해 친환경산업단지와 테크노밸리, 영상 및 문화콘텐츠 클러스터가 조성된다. 파주는 예술마을을 활용한 출판도시로 자리매김한다. 구리와 남양주, 가평이 포함된 북한강문화예술존은 천혜의 자연환경을 이용한 문화·관광벨트가 조성될 전망이다. 포천과 연천은 통일시대를 대비, 남북교류및 협력중심지로 통일경제특구와 DMZ 세계생태 평화공원을 조성케 된다. 의정부와 양주, 동두천 등엔 미군반환 공여지를 활용·개발해 병원과 학교 등 생활 인프라를 보강, 북부지역 삶의 질을 높인다.

그러나 북부지역의 특화발전계획 추진을 위해선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개발대상 시·군 10곳 가운데 7곳의 재정자립도가 평균 30~40%에 못 미쳐 살림이 어려운 만큼 개발에 필요한 재원확보가 난제다. 물론 국비지원도 필요한 부분이지만 예산소요가 천문학적으로 이뤄질 사업들이기 때문이다. 또 그간 북부개발에 걸림돌이 됐던 군사보호·상수원보존·수도권개발제한 등 중첩된 규제를 어떻게 풀어나가느냐는 것도 과제다. 전국 최하위의 도로보급률인 교통체계도 문제다. 거주지역의 주택 개보수조차 까다로운 규제에 묶여 재산권 행사에 어려움이 있었던 지역들이기 때문이다. 관할 기관 간에 이해관계가 얽힐대로 얽혀 이를 현실적으로 풀어나갈 포괄적인 추진체계도 필요해 보인다. 통일에 대비 경기북부의 특화개발 전략은 속도감이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