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지침 3~4학급 이하로
150명이상땐 안전요원 필요
고용 힘들고 비용 문제 발생
대안 소규모체험 ‘비현실적’


교육부가 세월호 사고 후 내놓은 수학여행 안전대책이 일선 학교현장에서 현실성이 떨어져 반발을 사고 있다. 교육부 안전대책 규정에 맞추다 보면 한 학년이 단체로 수학여행을 가기 어렵다는 것이다.

교육부는 세월호 사고 이후 중단된 수학여행을 재개하기로 하고, 지난해 7월 ‘안전하고 교육적인 수학여행 시행방안’을 발표했다.

교육부가 마련한 시행방안에는 3~4학급 이하로 수학여행 규모를 줄이고, 수학여행계획 수립 시 지켜야 할 내용이 수록돼 있다. 특히 150명·5학급 이상 대규모 수학여행은 학부모 동의를 받고, 반드시 안전요원을 확보하도록 했다.

그러나 일선 학교에서는 교육부의 규정을 지켜가며 수학여행을 가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불만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학교 현장에서는 소방관·경찰관·응급지도사 등 교육부가 내세운 자격 요건을 갖춘 안전요원을 찾기 어렵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이와 함께 안전요원 인건비가 60만~90만원(2박 3일 기준)에 달하는 탓에 학교 자체 예산으로 마련하기 어려워 수학여행을 가는 학생들에게 부담시켜야 하는 상황이다.

인천지역에서 올해 수학여행을 갈 계획을 세우고 있는 학교 512곳 중 150명 이상이 수학여행을 가는 학교는 57개교(11%)에 불과하다. 경기도도 교육청에 수학여행 계획을 제출한 학교 348곳 중에서 29곳(8%)만이 100명 이상(경기도교육청 자체 기준) 수학여행을 떠났다.

지난 6일부터 사흘간 경북 경주를 방문하는 체험학습을 계획한 용인의 한 초등학교는 참여 인원이 102명이어서 안전요원 2명을 고용해야 했지만 구하지 못해 교사 2명이 직접 현장체험학습 안전요원 교육을 받아 동행했다.

해당 초등학교 관계자는 “성범죄경력, 아동학대 관련 범죄 경력을 조회해야 하는 등 채용 절차도 복잡하고, 교사들의 부담이 커지면서 대규모 수학여행을 가는 학교는 거의 없는 걸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각 교육청에서 권장하는 소규모 체험학습에 대한 불만도 제기되고 있다. 소규모로 수학여행을 가게 되면 학생 1인당 내야 할 비용이 커지고, 참여 교사가 줄어들면서 오히려 안전에 소홀해질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한 초등학교 교사는 “대규모로 갈 경우에는 학년 부장 등 담임을 맡지 않은 교사가 안전, 사전 답사, 숙소 점검 등을 분담했지만 (소규모로 갈 경우에는) 담임교사가 모든 것을 책임져야 한다”며 “1인당 담당하는 학생 수는 줄지 않은 상황에서 업무가 늘어난다면 어떻게 학생 관리가 철저해 질 수 있겠냐”고 푸념했다.

인천시 교육청 관계자는 “일선 학교에서 수학여행 대책에 문제가 많다는 의견이 많아 교육부가 주관하는 회의에서 이를 공론화시킬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주엽·조윤영기자 kjy86@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