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본부, 즉 해양경비안전본부의 세종시 이전을 저지하려던 인천지역사회의 노력은 결국 물거품이 됐다. 오랜 세월 인천에 뿌리를 두고 내려오면서 인천의 상징이 되었던 한 정부기관의 존치를 위해 여야 지역정치권과 각 계층의 시민들이 모처럼 뜻을 하나로 모았던 사안이었음에도 아무런 결실을 맺지 못했다. 그래서 커다란 마음의 상처와 후유증이 예상된다. 당장은 누구의 책임이냐는 원초적인 문제를 놓고 지역사회가 한바탕 홍역을 치를 것 같다. 내년 4월 국회의원을 뽑는 총선을 앞두고 있으니 불에 기름을 끼얹는 형국이다.
진짜 문제는 해경본부의 이전이 다가 아니라는 점이다.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극지연구소마저 타 지역에 빼앗기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극지연구소 책임자는 그저께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다른 지역에서는 극지연구소를 가져가기 위해 야단인데 인천은 너무 조용하다”고 일침을 가했다. 인천지역사회가 할 걱정을 거꾸로 해당 기관이 하고 있다. 기가 찰 노릇이다.
부산시와 강원도는 정부가 2020년 취항을 목표로 건조를 추진 중인 제2호 쇄빙연구선의 모항을 유치하기 위해 치열한 물밑작업을 펼치고 있다. 현재 인천내항을 모항으로 하고 있는 제1호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보다 규모가 큰 제2호 쇄빙연구선의 모항이 될 경우 극지연구의 주도권을 최소한 50% 갖게 되기 때문이다. 특히 부산시는 제2 극지연구소를 중심으로 극지체험관·박물관 등을 갖춘 대규모 극지타운까지 구상하고 있다고 한다. 인천에 있는 극지연구소의 ‘부산이전설’을 전혀 근거 없다고 장담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다.
그럼에도 ‘해양도시’ 인천시는 여전히 팔짱을 끼고 있다. 극지연구소와 업무연락을 하는 부서조차 지정돼 있지 않다. 어디 그뿐인가. 국가교육개혁과제인 자유학기제의 내년 전면실시를 앞두고 국무총리가 직접 다녀갈 정도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방송통신위원회 산하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기초지자체인 연수구에 모든 것을 떠밀어 놓고 있다. 찾아보면 인천시의 무소통과 수수방관은 비단 이들 기관에만 해당되는 게 아닐 것이다. 인천시는 이들이 다 떠나고 난 뒤에야 비로소 움직일 것인가. 해경본부의 이전만으로도 인천은 너무 아프고 타격이 크다.
[사설] ‘해양도시’ 인천, 이제 ‘극지연구소’까지 뺏기나
입력 2015-10-20 22:00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10-21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