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인일보가 창간 70주년을 맞아 연속으로 보도한 사할린 동포문제는 많은 점을 시사하고 있다. 오랜 시간이 흘렀지만 여전히 사할린 동포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있다. 익히 알려진 대로 1930년대 말에서 1940년대 초까지 일제에 의해 사할린 섬으로 강제 징용되면서 본격적으로 한민족의 사할린 이동이 시작됐다. 이 기간 동안 강제징용으로 15만여 명이 사할린에 끌려갔고 상당수는 탄광 등에서 일하다 숨졌다. 2차대전이 끝난 후 사할린 한인은 4만3천명이 있었지만 이들은 끝내 고향에 오지 못했다. 일본 정부가 조선인들은 일본인이 아니라는 이유로 이들을 방치했기 때문이다. 이들은 탄광이나 공장에서 일하거나, 꽁꽁 언 땅에 농사를 지어 기른 작물을 시장에 내다 팔며 어렵게 생계를 유지해 왔다.
그러던 중 1990년 한·러 수교가 시작되며 마침내 귀향의 물꼬가 트여 그해 120명이 한국 땅을 밟았다. 거의 50년만이다. 대한적십자사에 따르면 1990년부터 지난해 말까지 영주 귀국한 사할린 한인은 모두 4천293명이다. 하지만 아직도 사할린에는 1세대가 600여명 살고 있으며 이들은 3·4세대 후손들에 대한 한국 정부의 태도에 주목하고 있다. 후손들의 영주 귀국이 성사될지, 한국말과 문화·역사를 모르는 한인 아이들의 ‘뿌리 찾기’에 한국 정부가 나서줄지, 강제 징용에 대한 보상문제는 해결이 될지 등 관심사가 다양하지만 한국 정부의 태도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광복 70주년인 올해, 사할린 한인지원 문제는 일본의 영주귀국 지원 종료 등으로 전환점을 맞고 있다. 그런데 정부의 태도는 여전히 신중함 그 자체다. 반면 사할린 한인들은 “고국이 우리를 잊었다”며 서운함을 감추지 않고 있다고 한다. 우리가 이들을 외면할 수 없는 이유는 이들이 반드시 우리가 껴안아야 할 같은 민족이기 때문이다. 아직도 영주귀국 한인의 연령 제한, 사할린에서 살고 있는 3·4세대와의 교류 등 해결되지 못한 문제가 산적해 있다. 이제 정부가 적극 나서 사할린 한인들을 전담하는 기구를 설립하고, 사할린 거주 한인의 영주귀국, 한국국적 취득지원, 전담기구 설치 등을 주된 내용으로 한 사할린 한인지원특별법안을 적극 추진해야 한다.
[사설] 지금은 사할린 동포에게 따듯한 손을 내밀 때
입력 2015-10-20 22:01
지면 아이콘
지면
ⓘ
2015-10-21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