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인천지역 건설업체들이 퇴출 위기에 몰리고 있다. 최근 이어지는 불경기로 건설업체들의 수주물량이 급격히 줄어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 정부가 ‘좀비기업’으로 불리는 부실기업에 대한 본격적인 구조조정 작업에 나섰기 때문이다. 경인지역에 산재한 이들 퇴출대상 상당 기업들은 부채비율이 높고 재무 건전성이 취약해 영업이익으로 채무이자조차 갚을 수 없는 상태에 놓여있다. 자칫 이로 인한 피해는 금융권에까지 부실영향이 미쳐 경제상황을 끌어내릴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같은 경기·인천지역 건설업체들의 경영악화는 내수경기 침체로 국내 수주물량이 급격히 줄어든 데다 해외 건설시장마저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건설업체들의 자구노력과 건설수주 물량의 확보 등 경기부양책이 없는 한 회생이 어려운 상황이다. 문제는 건설 시공능력이 50위내에 있는 대기업들이 포진해 있어 건설업계의 침체현상이 심각한 상태에 이르고 있다. 장기화 될 경우 건설업계 전반에 악영향이 미칠 전망이다.

최근 경인지역 건설업체들의 영업공시 자료에 따르면 시공능력평가순위 50위 내에 있는 도내 기업 가운데 11위에 랭크되어 있는 한화건설을 비롯 19위의 코오롱건설, 21위의 태영건설, 28위의 한신공영 등 상위 그룹의 건설사들이 지난해 기준 이자보상배율이 1.0 미만을 기록했다. 영업이익으로 이자조차 지불키 어려운 잠재적 부실기업으로 평가받는 수준이다. 채무상환 능력에 문제가 생기고 이로 인한 재무건전성도 취약해질 수밖에 없다. 이들 기업은 부채 비율에서도 모두 100%를 넘어서고 있다. 한화건설의 경우 지난해 -3.8의 이자보상배율이 올 상반기에 -1.5로 나아지긴 했으나 재무 건전성에 압박을 받는 상황일 수밖에 없다. 이는 코오롱글로벌이나 태영건설, 한신공영도 마찬가지다.

인천지역의 경우 시공능력 50위권내 건설사 가운데 이자보상배율이 1.0 미만인 업체는 포스코엔지니어링이 유일하다. 지난해 기준 이자보상배율이 0.3805로 나타났다. 비교적 건전성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듯 경인지역 건설업체들의 침체가 지속될 경우 도산과 퇴출의 길을 면키 어렵다. 건설경기를 살리기 위한 지자체나 정부의 과감한 부양책도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