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지사와 간담회 불참 통보 이어
타지역 일정 연기·취소소식 접해
경기도·인천시 협력사업 등 걱정

연재_사드배치.jpg
대한민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결정 후 중국은 공식적으로 우리나라를 압박하고 있지는 않지만, 정치·경제·문화·사회 곳곳에서 은연중에 한국을 압박하고 있음이 포착된다. 이는 한·중 양국의 지자체 간 교류에서도 여실히 드러난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지난달 13일 후춘화(胡春華) 중국 공산당 광둥성 서기를 만난 후 14일 중국에서 대외 외교업무를 총괄하는 쑹타오(宋濤)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대외연락부 부장을 면담하려 했으나 갑작스레 면담이 취소됐다.

쑹타오 부장 측이 13일 저녁 현지에 도착한 남 지사 일행에게 급작스레 간담회 불참을 통보한 것이다. 이에 대해 정치권에서는 출국 전 남 지사의 사드관련 발언과 한국 정부의 사드 배치지역 공식발표 등에 대한 불편한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보고 있다.

남 지사는 중국을 방문하기 하루 전인 12일 오전 한 라디오 방송과 가진 인터뷰에서 "사드배치, 이유와 대책 충분하다면 대한민국 어디라도 받아들여야 한다"며 "설사 경기도 평택이나 오산에 배치가 된다 하더라도 이를 감수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을 한 바 있다.

최근에도 경기도는 중국과의 교류를 추진함에 있어 마음을 졸여야만 했다. 경기도 대표단은 7일부터 오는 13일까지 중국의 동북3성(랴오닝성·지린성·헤이룽장성)을 방문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이에 앞서 강원도가 중국 CCTV7과 함께 원주·속초 등 여행지를 홍보하는 프로그램을 촬영하려고 했다가, 중국 측의 요구로 잠정 연기됐다는 소식을 접했기 때문이다.

도 관계자는 "결과적으로 동북3성과의 교류는 차질 없이 진행될 예정이지만, 다른 지자체의 중국교류 일정이 연기되거나 취소되면서 솔직히 걱정을 많이 했다"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교류·협력사업과 관련해 중국 현지상황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천시는 지난 1월 중국 산둥성 지모(卽墨)시에 '미추홀 식품관'을 열었다. 미추홀 식품관은 인천시와 중국 지모시 간 지난해 투자·경제무역 협력강화 협약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시는 무척 긴장하고 있는 상태다. 시 관계자는 "중국 정부의 사드배치 결정 반대 여파가 혹 미추홀 식품관에도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까 걱정된다"며 "상황 점검 등을 위해 조만간 지모시를 찾을 예정"이라고 말했다.

시는 유정복 인천시장 취임 이후 광저우(廣州)·윈난(雲南)·창저우(滄州)·충칭(重慶)·톈진(天津) 등 지자체와 경제·무역 분야의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나 업무협약을 맺었다.

중국과의 교류 행보를 넓혀온 것이다. 또 한중 FTA 효과를 극대화하고 인천과 중국 간 교류확대 발판을 마련하기 위한 '인-차이나 프로젝트(In-China Project)'를 추진 중이다.

시 관계자는 "중국 지자체가 사업을 취소한 경우는 아직 없었지만, 아무래도 우리나라보다 정부의 입김이 지자체에 강하게 작용하는 나라인 만큼,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고 했다.

한편 인천관광공사 측도 "지난 5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인 알리바바와 '중국 온라인 여행시장 선점'을 위한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고 후속 작업을 추진 중"이라며 "협약관련 내용이 잘 진행될지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했다.

/김선회·이현준기자 upl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