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03001001953900098192

노동·자본 비대칭 보여준 노동시
배타적이고 고유한 경험 통해
한국시의 변경을 개척해 왔다
노동에 대해 확장된 관점과 함께
농촌·도시외곽 구성원들에 대한
지속적 시적 접근 외면 할 수 없다

2016103001001953900098191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문과 교수
지난날에 대한 악몽의 기억,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기억으로부터 출발할 수밖에 없는 자기 자신의 삶을 노래하는 시인들은 여전히 현실을 태반으로 하여 온몸으로 시를 써간다. 자기 부정과 견인의 시선을 마련하면서 삶에 대한 기억과 갱신을 동시에 감행하는 시인들이 여기 해당할 것이다. 이들은 경험적 구체성과 역사에 대한 깊은 관심을 통해, 사회적 상상력으로 자신의 사유의 영역을 드리워간다. 또한 이들은 삶의 구체성과 보편성을 하나로 관통하는 상상력의 과정을 거치면서 궁극적 자기 긍정에 토대를 둔 시적 가능성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변함없이 고통스럽기만 한 현실을 두고 볼 때 그들의 지속성이 다분히 시지프스적인 노력이 될 가능성이 없지는 않지만, 이들은 예술이 권력이나 자본과 결합하는 시류에 대한 근원적 저항의 몫을 시가 띨 수 있다는 점을 선명하게 알려준다. 특별히 전위적 실험들이 자신의 핵심만을 문학사의 자양으로 남기고 사라져버렸던 사실에 비추어볼 때, 이들 시의 지속성과 견고함은 사회적 상상력의 결여 형식에 대한 강력한 저항으로 각인될 것이다. 그 실례를 다 거론하기는 힘들겠지만 한 편만 예로 들어보자.



올해 문화예술위원회에서 주겠다는/지원비가 드디어 한 달에 100만 원씩/1200만 원으로 올랐다, 용렬하게/이 몸도 신청했다, 문득 화곡역 청소부에게/한 달 월급이 얼마나 되느냐고/왜 물어보고 싶었을까?/63만 원이라고 했다./시집도 내고 목돈으로 1200만 원이나 벌었으니/행복은 역시 능력 있는 사람의/권리지 의무가 아니라고/누군가는 생각할 것이다, 솔직히/배때지가 꼴린다, 내가 못 받았기 때문이다/"모든 예술은 사기다."/백남준의 이 말은 은유도 비유도 아니다/예술은 부를 창출하는 게 아니다, 그 청소부는/얼마나 많은 부를 창출하고도 그것밖에 가지지 못하나/예술은 허구를 조작하는 것이다./이 사실을 자각하는 시인만이 시인이라고/단언하기는 그렇지만, 시인들이여/행복은 권리라고 생각하지 마라, 그렇다면 그대는/시인은 못되리라, 행복은 누구나의 의무다/우리의 행복함은 곧 우리가 선함이요/우리의 불행은 우리가 악하기 때문이라/이러한 행복과 불행의 원리는,/화곡전철역에서 하루종일 허리 구부리고 청소하시는/아주머니의 월급이 63만 원밖에/안 되기 때문이다.

― 최종천, '화곡역 청소부의 한 달 월급에 대하여' 전문

이 시편에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삶의 애환이 잘 나타나 있다. 일찍이 우리는 조직화된 노동자가 아니라 변방으로 몰린 비정규직 일용 잡부들의 고단한 생애를 증언해온 김신용의 시학을 만나본 바 있다. 그런데 위 시편에서는 정부 지원금을 '용렬하게' 신청한 것에 자괴감을 가지면서, 문득 '화곡역 청소부'에게 한 달 월급을 묻고 싶은 충동을 가진 시인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63만 원'이라는 청소부 월급에 비한다면 예술은 허구를 조작하는 것이 아닐까 하고 시인은 생각한다. 순간 이 사실을 자각하는 '시인'이 중요하다는 것, 행복은 '권리'가 아니고 '의무'라는 것, 그리고 그 원리는 "화곡전철역에서 하루종일 허리 구부리고 청소하시는/아주머니의 월급이 63만 원"밖에 안 된다는 것을 시인은 힘주어 노래한다. 그야말로 행복과 선, 불행과 악을 깊이 연동시킨 이 시편은, 시와 윤리의 상관성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청하고 있다.

이렇게 노동과 자본의 비대칭적 구조를 여실하게 보여준 일련의 노동시는 배타적이고 고유한 경험적 직접성을 통해 한국 시의 변경을 개척해왔다. 이제 노동은 조직적이고 생산적인 노동에서 '비물질 노동', '감정 노동' 등 다양한 형식으로 확산되어가고 있다. 더불어 비정규직이나 이주 노동자 같은 새로운 범주에 대한 성찰도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노동'에 대한 확장된 관점과 함께 우리는 농촌, 도시 외곽 등 한국 사회의 항구적 타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시적 접근을 도외시할 수 없다. 한국 시가 연성(軟性) 편향에 빠져서는 안 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에서일 것이다.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문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