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동·자본 비대칭 보여준 노동시
배타적이고 고유한 경험 통해
한국시의 변경을 개척해 왔다
노동에 대해 확장된 관점과 함께
농촌·도시외곽 구성원들에 대한
지속적 시적 접근 외면 할 수 없다

올해 문화예술위원회에서 주겠다는/지원비가 드디어 한 달에 100만 원씩/1200만 원으로 올랐다, 용렬하게/이 몸도 신청했다, 문득 화곡역 청소부에게/한 달 월급이 얼마나 되느냐고/왜 물어보고 싶었을까?/63만 원이라고 했다./시집도 내고 목돈으로 1200만 원이나 벌었으니/행복은 역시 능력 있는 사람의/권리지 의무가 아니라고/누군가는 생각할 것이다, 솔직히/배때지가 꼴린다, 내가 못 받았기 때문이다/"모든 예술은 사기다."/백남준의 이 말은 은유도 비유도 아니다/예술은 부를 창출하는 게 아니다, 그 청소부는/얼마나 많은 부를 창출하고도 그것밖에 가지지 못하나/예술은 허구를 조작하는 것이다./이 사실을 자각하는 시인만이 시인이라고/단언하기는 그렇지만, 시인들이여/행복은 권리라고 생각하지 마라, 그렇다면 그대는/시인은 못되리라, 행복은 누구나의 의무다/우리의 행복함은 곧 우리가 선함이요/우리의 불행은 우리가 악하기 때문이라/이러한 행복과 불행의 원리는,/화곡전철역에서 하루종일 허리 구부리고 청소하시는/아주머니의 월급이 63만 원밖에/안 되기 때문이다.
― 최종천, '화곡역 청소부의 한 달 월급에 대하여' 전문
이 시편에는 비정규직 노동자의 삶의 애환이 잘 나타나 있다. 일찍이 우리는 조직화된 노동자가 아니라 변방으로 몰린 비정규직 일용 잡부들의 고단한 생애를 증언해온 김신용의 시학을 만나본 바 있다. 그런데 위 시편에서는 정부 지원금을 '용렬하게' 신청한 것에 자괴감을 가지면서, 문득 '화곡역 청소부'에게 한 달 월급을 묻고 싶은 충동을 가진 시인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63만 원'이라는 청소부 월급에 비한다면 예술은 허구를 조작하는 것이 아닐까 하고 시인은 생각한다. 순간 이 사실을 자각하는 '시인'이 중요하다는 것, 행복은 '권리'가 아니고 '의무'라는 것, 그리고 그 원리는 "화곡전철역에서 하루종일 허리 구부리고 청소하시는/아주머니의 월급이 63만 원"밖에 안 된다는 것을 시인은 힘주어 노래한다. 그야말로 행복과 선, 불행과 악을 깊이 연동시킨 이 시편은, 시와 윤리의 상관성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청하고 있다.
이렇게 노동과 자본의 비대칭적 구조를 여실하게 보여준 일련의 노동시는 배타적이고 고유한 경험적 직접성을 통해 한국 시의 변경을 개척해왔다. 이제 노동은 조직적이고 생산적인 노동에서 '비물질 노동', '감정 노동' 등 다양한 형식으로 확산되어가고 있다. 더불어 비정규직이나 이주 노동자 같은 새로운 범주에 대한 성찰도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노동'에 대한 확장된 관점과 함께 우리는 농촌, 도시 외곽 등 한국 사회의 항구적 타자들에 대한 지속적인 시적 접근을 도외시할 수 없다. 한국 시가 연성(軟性) 편향에 빠져서는 안 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에서일 것이다.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국문과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