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진왜란 모티브 픽션사극 '두개의 슬픈 代立'
실내 세트없이 올로케 촬영 '생생한 현장감' 담아
나약한 왕에서 백성위한 지도자로 변화과정 백미
■감독 : 정윤철
■출연 : 이정재, 여진구, 김무열, 박원상, 배수빈, 이솜
■개봉일 : 5월 31일
■역사·드라마/15세이상관람가/129분

그러나 정체를 알 수 없는 적의 공격이 가해지고, 조선의 왕을 잡으려는 일본군의 추격까지 더해진다. 위기를 감지한 대립군의 수장 토우는 곡수를 비롯한 대립군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광해와 함께 하기로 한다.
생사를 오가는 고난 속에서 운명을 함께 하게 된 광해와 대립군은 누군가를 대신하는 자신들의 처지가 서로 닮았음을 느낀다. 그것도 잠시, 참혹한 전쟁으로 인해 분조와 대립군 내부에 분열이 일어난다.
2012년 '광해, 왕이 된 남자', 2015년 '사도'에 이어 등장한 팩션 사극의 새 주자다. 생존을 위해 남의 군역을 살았던 대립군(代立軍)과 광해의 새로운 모습을 스크린 위에 처음으로 담았다.
전쟁 한가운데 나라를 버린 아버지를 대신해 조선을 지키며 분조 행렬을 이끌어야 했던 광해의 이야기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나약한 왕 광해가 이름 없는 대립군과 함께 험난한 여정을 경험하면서, 비로소 백성을 사랑하는 왕으로 다시 태어나는 과정은 영화의 백미다.
'대립군'은 임진왜란에 관계된 각종 역사적 사실을 모티브로 이야기를 이어간다. "나라가 망해도, 우리 팔자는 안 바뀌어!"라는 토우의 대사가 대립군의 삶을 이들이 조선시대 의병의 시발점이 됐을지 모른다는 흥미진진한 상상력이 스크린 위에 펼쳐진다.
본인의 목숨보다 동료들의 목숨이 더 소중했던 대립군의 수장 '토우'는 이정재가, 아버지를 대신해 나라를 지켜야 했던 어린 왕 '광해'는 여진구가, 생존을 위해 대립군의 안위를 걱정해야 했던 명사수 '곡수'는 김무열이 연기했다.

이정재는 "몇 개월 간 함께 고생을 나누며 촬영을 했던 순간을 잊을 수 없을 만큼 '대립군'과의 호흡은 정말 영화만큼 뜨거웠으며, 어리지만 강인한 왕 광해와는 영화 촬영 내내 서로 의지할 만큼 남달랐다"고 전했다.
실내 세트없이 올로케로 촬영을 진행한 정윤철 감독은 "험난하고도 잔인한 전쟁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주지 않는다면, 영화 후반부에 보여줄 인물들의 감정에 관객들이 이입할 수 없을 거라고 생각했다. 실제 길 위에서, 산 속에서, 들판 위에서 연기 그 이상으로 배우들이 느끼는 실제 고통과 고생을 최대한 담아내려고 노력했다"고 전했다.
더불어 제작진들은 영화 속 요충지가 될 강계산성마저 야외 오픈 세트로 제작하는 등 생생한 현장감을 위하여 총력을 기울인 것으로 알려졌다.
/민정주기자 zuk@kyeongin.com 사진/이십세기폭스코리아(주)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