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넘게 사용하지 않은 고객들의 은행계좌 94만5천개가 해지되고 해당계좌의 잔액 3천700여억원이 예금주들에게 되돌아갔다.
금융감독원은 은행연합회, 금융결제원과 함께 '장기 미사용 계좌 정리' 캠페인을 6주간 벌인 결과, 이들 계좌의 잔액 3천706억원이 해당 계좌의 예금주에게 되돌아갔다고 30일 밝혔다.
계좌 1개당 평균 환급액은 39만2천원이다.
잔액이 50만원 이하인 계좌가 90만5천개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지만 100만원을 넘는 계좌도 3만3천개나 발견됐다고 금융감독원 측은 설명했다.
현재 미사용 은해예좌는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www.payinfo.or.kr)를 이용해 한 번에 조회해 잔액을 이전하고 해지 처리할 수 있다.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fine.fss.or.kr)에 접속하거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이용할 수 있다. 은행 창구를 방문해도 된다.
금감원은 제2금융권의 모든 계좌를 한꺼번에 조회하는 '내 계좌 한눈에' 서비스가 올해 말과 내년 6월까지 단계적으로 구축되는데 맞춰 제2금융권의 미사용 계좌 정리 캠페인도 벌이기로 했다.
금감원은 오후 5시까지인 계좌통합관리서비스의 이용 시간을 오후 10시까지로 늘리는 한편, 펀드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등도 조회 대상에 추가하기로 했다.
금융감독원은 은행연합회, 금융결제원과 함께 '장기 미사용 계좌 정리' 캠페인을 6주간 벌인 결과, 이들 계좌의 잔액 3천706억원이 해당 계좌의 예금주에게 되돌아갔다고 30일 밝혔다.
계좌 1개당 평균 환급액은 39만2천원이다.
잔액이 50만원 이하인 계좌가 90만5천개로 절대 다수를 차지했지만 100만원을 넘는 계좌도 3만3천개나 발견됐다고 금융감독원 측은 설명했다.
현재 미사용 은해예좌는 계좌정보통합관리서비스(www.payinfo.or.kr)를 이용해 한 번에 조회해 잔액을 이전하고 해지 처리할 수 있다.
금융소비자정보포털 파인(fine.fss.or.kr)에 접속하거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해 이용할 수 있다. 은행 창구를 방문해도 된다.
금감원은 제2금융권의 모든 계좌를 한꺼번에 조회하는 '내 계좌 한눈에' 서비스가 올해 말과 내년 6월까지 단계적으로 구축되는데 맞춰 제2금융권의 미사용 계좌 정리 캠페인도 벌이기로 했다.
금감원은 오후 5시까지인 계좌통합관리서비스의 이용 시간을 오후 10시까지로 늘리는 한편, 펀드와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 등도 조회 대상에 추가하기로 했다.
/디지털뉴스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