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과몰입치유센터' 전무
'예방·지원' 청소년에 국한
정부, 뚜렷한 대책 제시못해
잠재적 범죄 방지 관리 필요
게임에 중독된 중·장년층이 늘고 있지만, 경기도 내 이를 치료할 '게임 과몰입 치유센터'가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정부가 청소년들의 게임 중독에만 집중할 뿐, 중·장년층에 대해서는 기본적인 지원 대책조차 갖추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30일 한국콘텐츠진흥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게임 과몰입(문제적 게임 이용 경향성만 강하게 나타나는 집단) 종합 실태조사에서 만 20세부터 35세까지의 모집단 3천명 중 성인 과몰입군이 2012년 1.5%를 기록한 데 이어 지난해는 2.8%를 기록하는 등 증가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성인을 대상으로 게임 과몰입 증후군을 치료할 수 있는 기관은 부족한 실정이다. 현재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게임문화재단 소속 '게임 과몰입 치유기관'은 전국 5곳(서울 마포, 서울 동작, 나주, 충주, 대구)에 설치돼 있다.
이전부터 중·장년층의 게임 중독과 연관된 사건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지난 25일 양평에서 일어난 윤송이 사장 부친 살해사건 피의자 허모(44)씨는 게임 중독을 겪고 있는 '중·장년층 게임 과몰입'에 속했으며 앞서 지난해 평택 신원영(당시 7세)군 사망사건의 주범인 계모 김모(38)씨도 신군을 감금하고 굶기면서 모바일 게임에 4천만원을 쏟아붓는 등 게임에 과몰입된 증상을 보였다.
이같이 게임 과몰입을 보이는 중·장년층의 범죄가 잦은데도 정부는 '중·장년층 게임 중독자'에 관한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실제로 진흥원에서 매년 실시하는 '게임 과몰입 종합 실태조사'의 대상은 10~35세까지로 청소년과 청년층에 국한돼 있다.
또 지난 2012년부터 2014년까지 진흥원이 한시적으로 배정한 도내 '게임 과몰입 전문상담사' 역시 교육청과 학교 내에 배치돼 청소년만을 대상으로 했다.
이에 게임중독을 겪은 청소년과 청년이 중·장년층이 돼 겪을 문제에 대비해 중·장년층 맞춤형 게임중독 방지 정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미 중·장년층이 된 게임 중독자의 잠재적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이들을 집중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수정 경기대 범죄심리학과 교수는 "정부가 중·장년층 게임중독문제의 심각성을 파악조차 하지 못하고 있다"며 "게임 아이템을 이용한 불법 마켓을 형성하는 등 게임 중독이 또 다른 2차 범죄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해 중·장년층 게임 중독 방지 정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연신기자 julie@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