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의 한 공장에서 염산 유출 사고가 연달아 발생했다.

인천 서구는 지난 2일 서구 석남동의 화학 폐기물 처리공장에서 염산 유출을 확인했다. "석남동 공장에 폐염산이 지속적으로 유출된다"는 시민 민원을 접수해 현장을 확인한 결과, 공장 내 30ℓ들이 저장탱크와 이를 둘러싸고 있는 방호벽 사이 바닥에서 소량의 염산을 발견했다.

이 공장은 지난해 11월 '폐염산 유출 사고'가 발생했던 곳이다. 당시 인천 소방관들과 시흥화학재단합동방재센터가 나서 '긴급 안전 조치'를 했고, 환경부 산하 기관인 한강유역환경청이 실태 조사에 나섰다.

서구는 이번 사고의 원인을 지난해 유출 사고 때 얼었던 염산이 녹으면서 생긴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지난해 사고 이후 염산 제거 작업이 미진했고, 환경 당국의 감시·감독이 없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현행법상 폐기물을 규정에 맞지 않게 처리한 사업자에 대해 환경당국은 '처리 방법의 변경', '폐기물 반입 정지' 등 조치 명령을 할 수 있다. 지난해 사고 이후 이 조치는 이뤄지지 않았다.

그 대신 해당 업체에 영업정지 1개월, 과태료 400만원을 부과했지만 큰 의미가 없었다. 해당 공장은 2016년 초부터 가동이 중단됐다.

환경 당국은 이번 유출 사고의 원인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 사고의 원인이 '밸브의 부식'이었는데, 사고 당시 저장탱크 내 폐기물 잔량이 얼마나 되는지, 그 이후 시설물 보수가 이뤄졌는지조차 불투명하다.

환경 당국은 공장 가동이 중단된 폐기물 처리 업체까지 감시·감독하는 게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대해 환경부 관계자는 "지난 사고 때는 유출된 물질이 폐기물인지, 정제를 거친 완제품인지 확인이 되지 않아 조치 명령을 내릴 수 없었다"며 "7천여 개가 넘는 수도권 내 폐기물 처리업소를 모두 감시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사업자들의 자발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승배기자 ksb@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