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032701002194900105751.jpg
금호타이어 인수전에 뛰어든 타이어 유통업체 타이어뱅크의 김정규 회장이 27일 대전 서구 상공회의소에 기자회견을 열고 금호타이어 인수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타이어 유통업체인 타이어뱅크㈜가 27일 금호타이어 인수를 추진한다고 공식 밝혔다.

김정규 타이어뱅크 회장은 이날 오전 10시 대전상공회의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금호타이어가 중국 더블스타에 통째로 매각되는 것을 보면서 안타까운 심정"이라며 "국내 기업으로서 가만히 지켜보고 있을 수 없어 인수를 추진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내 공장까지 모두 중국 더블스타에 매각되면 국민의 마음과 자존감에 큰 상처로 오랫동안 남아 있을 것"이라며 "금호타이어를 인수하면 국내 산업을 보호하고 기술 유출을 막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타이어뱅크는 전국에 판매망을 갖추고 있어 즉시 판매를 증가시켜 고용을 보장하면서 금호타이어를 살릴 수 있는 유일한 회사"라고 강조했다.

자금조달 문제에 대해서는 "타이어뱅크는 건실한 기업"이라며 "타이어뱅크를 상장해 자금을 조달하거나 채권단에 담보로 제공하면 채권단 차입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더블스타가 인수할 경우 채권단이 2천억원을 지원하기로 한 것으로 안다"며 "2천억원 정도면 국내 공장을 살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구체적으로 밝힐 수는 없지만 글로벌 기업 두어 곳의 공동매수 제안이 있었기 때문에 시간은 좀 걸리겠지만 자금조달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설명했다.

김 회장은 "현재는 국내 공장만이지만 글로벌 기업과 얘기가 잘 되면 중국공장도 인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금호타이어의 자율협약 종료를 불과 사흘 앞두고 갑자기 인수 추진발표를 한 것에 대해서는 "금호타이어가 법정관리로 가든, 현 상태에서 타결되든 개의치 않는다"며 "국내 기업은 국내에서 인수해야 국가 자존심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이번 인수추진과 관련해 노조와 사전에 만나거나 논의한 적은 없다"며 "조만간 만나 설득하겠다"고 덧붙였다.

타이어뱅크는 국민 여론과 노조, 채권단의 생각을 들은 뒤 최종적으로 인수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양형종 기자 yanghj@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