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가 상승세가 거침없이 이어지고 있다. 국내 휘발유·경유 가격이 3개월여 만에 최대 주간 상승폭을 기록하며 뜀박질을 계속했다.
15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서비스인 '오피넷'에 따르면 9월 둘째주 전국 주유소의 보통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ℓ당 6.8원 오른 1천630.3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국제유가 상승세의 여파로 지난 6월 넷째주 이후 1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휘발유가는 또 다시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9월 둘째주 상승폭은 주간 상승폭으로는 지난 5월 마지막주(14.9원) 이후 16주만에 가장 큰 수치다.
전국 휘발유 평균 가격이 1천630원을 넘어선 것은 2014년 12월 셋째주(1천655.97원) 이후 처음이다. 1년 전인 지난해 9월 둘째주(1천475.1원)와 비교하면 10.5%나 올랐다.
자동차용 경유 가격도 9월 둘째주에 ℓ당 평균 1천431.6원을 나타내며 전주보다 7.0원 올랐다. 실내 등유도 ℓ당 954.7원으로 전주보다 4.4원 올랐다.
지역별로는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휘발유 가격이 평균 8.0원이나 오른 1천721.3원을 나타냈다. 대구는 5.2원 오른 1천602.6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가격에 판매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석유공사는 "국제유가는 미국 원유 재고 감소와 미국 원유 생산량 하향 전망 등의 영향으로 상승했으나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생산량 증가로 상승폭이 제한됐다"면서 "국제유가가 4주 연속 상승함에 따라 국내 제품 가격도 오름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15일 한국석유공사 유가정보 서비스인 '오피넷'에 따르면 9월 둘째주 전국 주유소의 보통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은 전주보다 ℓ당 6.8원 오른 1천630.3원으로 집계됐다.
국내 휘발유 가격은 국제유가 상승세의 여파로 지난 6월 넷째주 이후 11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휘발유가는 또 다시 연중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9월 둘째주 상승폭은 주간 상승폭으로는 지난 5월 마지막주(14.9원) 이후 16주만에 가장 큰 수치다.
전국 휘발유 평균 가격이 1천630원을 넘어선 것은 2014년 12월 셋째주(1천655.97원) 이후 처음이다. 1년 전인 지난해 9월 둘째주(1천475.1원)와 비교하면 10.5%나 올랐다.
자동차용 경유 가격도 9월 둘째주에 ℓ당 평균 1천431.6원을 나타내며 전주보다 7.0원 올랐다. 실내 등유도 ℓ당 954.7원으로 전주보다 4.4원 올랐다.
지역별로는 최고가 지역인 서울의 휘발유 가격이 평균 8.0원이나 오른 1천721.3원을 나타냈다. 대구는 5.2원 오른 1천602.6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가격에 판매된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석유공사는 "국제유가는 미국 원유 재고 감소와 미국 원유 생산량 하향 전망 등의 영향으로 상승했으나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생산량 증가로 상승폭이 제한됐다"면서 "국제유가가 4주 연속 상승함에 따라 국내 제품 가격도 오름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