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19일 오전 '9월 평양 공동선언'을 발표하자 주요 외신들이 일제히 긴급 속보를 내보냈다.
외신들은 특히 김 위원장이 "가까운 시일 내에 서울 방문을 약속했다"고 한데 이어 문 대통령이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올해 안을 의미한다"고 밝힌 것에 큰 관심을 나타냈다.
AP통신은 남북 정상이 합의문에 서명한 직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공동합의문에 서명을 했다"고 긴급 타전한데 이어, 공동선언 내용이 발표되자 "김 위원장이 '가까운 시일 내에' 서울을 방문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속보로 내보냈다.
AFP통신도 두 정상의 공동선언 내용 발표 직후 신속하게 "김 위원장이 '가능한 한 빨리' 서울을 방문하겠다고 말했다. 한반도 분단 이후 수십년만에 (북한 정상의) 첫 방문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교도통신 역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평양 회담 후 합의문에 서명했다"며 "김 위원장이 향후 서울에 방문하고자 하는 의향을 표명했다"고 속보로 전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날 두 정상의 기자회견을 생중계로 연결해 보도하면서 큰 관심을 나타냈다.
중국 관영 중앙(CC)TV는 이날 특집 보도를 통해 서울과 평양 특파원을 연결하는 등 남북정상회담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했다. CCTV는 특히 "남북 정상이 이날 오전 두 번째 정상회담에 들어갔고, 이후 공동선언 합의서에 서명했다"면서 "이번 합의에는 군사분계선 관련 합의 등 군사 분야에 대한 합의도 이뤄졌다"고 전했다.
CCTV는 이어 "합의안에는 김 위원장이 조만간 서울을 방문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
외신들은 특히 김 위원장이 "가까운 시일 내에 서울 방문을 약속했다"고 한데 이어 문 대통령이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올해 안을 의미한다"고 밝힌 것에 큰 관심을 나타냈다.
AP통신은 남북 정상이 합의문에 서명한 직후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공동합의문에 서명을 했다"고 긴급 타전한데 이어, 공동선언 내용이 발표되자 "김 위원장이 '가까운 시일 내에' 서울을 방문하겠다고 약속했다"고 속보로 내보냈다.
AFP통신도 두 정상의 공동선언 내용 발표 직후 신속하게 "김 위원장이 '가능한 한 빨리' 서울을 방문하겠다고 말했다. 한반도 분단 이후 수십년만에 (북한 정상의) 첫 방문이 될 것"이라고 보도했다.
교도통신 역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이 평양 회담 후 합의문에 서명했다"며 "김 위원장이 향후 서울에 방문하고자 하는 의향을 표명했다"고 속보로 전했다.
중국 매체들은 이날 두 정상의 기자회견을 생중계로 연결해 보도하면서 큰 관심을 나타냈다.
중국 관영 중앙(CC)TV는 이날 특집 보도를 통해 서울과 평양 특파원을 연결하는 등 남북정상회담 상황을 실시간으로 전달했다. CCTV는 특히 "남북 정상이 이날 오전 두 번째 정상회담에 들어갔고, 이후 공동선언 합의서에 서명했다"면서 "이번 합의에는 군사분계선 관련 합의 등 군사 분야에 대한 합의도 이뤄졌다"고 전했다.
CCTV는 이어 "합의안에는 김 위원장이 조만간 서울을 방문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고 덧붙였다. /박상일기자 metro@kyeongi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