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로 데이트폭력 사건 현장에 나가면 가해자는 "너무 사랑해서 그랬다. 내가 사랑하는 연인과 둘만의 문제니까 간섭하지 말아 달라"고 정당화시킨다. 반면에 신고한 피해자는 신고를 빌미로 한 2차 가해 우려와 연인과의 정 때문에 처벌을 주저한다. 하지만 이러한 머뭇거림은 더 큰 강력범죄로 이어진다. 헤어지고 난 후 연인에 대한 복수심으로 연인시절 나눴던 은밀한 생활을 온라인에 유포시키는 이른바 '리벤지 포르노'까지 사회 문제화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연인과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폭력은 육체적 피해뿐 아니라 '나와 관련된 가족 등 다른 사람들까지 위험에 빠질 수 있다'는 우려를 수반하기 때문에 초기에 피해를 줄이고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주변에 피해 사실을 알리고 112신고, 여성긴급전화 1366 등 전문기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또 폭행 피해와 관련된 흔적 등 증거자료를 확보해야 한다. 이와 함께 상대에게 싫다는 의지도 명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경찰은 보호시설 연계, 임시숙소 제공을 통해 데이트폭력 피해자를 보호하고 있고, 주거지 및 직장 주변 순찰, 스마트워크 지급 등 2차 피해 예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데이트 폭력은 이제 개인적인 문제가 아닌 사회적 문제다. 사랑하는 연인은 소유물이나 통제의 대상이 아니다. 사랑하기 때문에 폭력이 정당화될 수 없는 심각한 범죄다. 폭력을 행사한 사람은 연인이 아니라 '가해자 또는 범죄자'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노현성 용인동부경찰서 고매파출소 경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