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장 확대·백령공항 신설 등 화해 분위기 타고 '체감 현안' 속속 해결
남북관계 개선→市 과제 해결→시민이익 증대… 선순환 구조 가능성
북미 정상회담이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남북 경협 재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지난 19일 문재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남북 사이의 철도·도로 연결부터 남북경제협력 사업까지, 트럼프 대통령이 요구한다면 그 역할을 떠맡을 각오가 돼 있다"고 밝혔다.
남북 경협이 재개되면 침체된 국내 경기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모멘텀이 형성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남북 화해 분위기에 따른 실질적인 이득이 국민에게 돌아온다는 '평화가 경제다'라는 정부의 구호가 경협 재개로 현실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천은 남북 평화 시대의 가장 큰 수혜 지역으로 꼽힌다. 아직 경협은 재개되지 않았지만 남북 화해 분위기를 타고 수년간 공회전만 거듭하던 인천 지역 주요 현안이 속속 해결되고 있다.
▲서해5도 어장 확대와 야간 조업시간 일부 연장 ▲인천 도심 해안 철책선 전면 철거 ▲인천 도심 군부대 이전에 따른 통합 재배치 협약 ▲국방부의 백령공항 신설 동의 ▲서해 평화도로 1단계 구간(영종~신도) 재정사업 전환 등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여러 현안들이 최근 잇따라 빛을 봤다.
남북 화해 기조→군(軍)의 유연성 확대→접경 지역 인천의 현안 해결→시민 이익 증대란 선순환 구조의 현실화 가능성이 커진 것이다.
당장 서해5도 어장 확대로 이곳 어민들의 소득 증대가 기대되는 것은 물론 국방부가 백령공항 신설에 동의하면서 서해5도 관광 활성화의 획기적인 전환점이 만들어졌다.
이와 함께 인천 도심 해안 철책 철거로 시민들이 누릴 수 있는 친수공간이 대폭 확대될 전망이며, 도심에 주둔해 있던 군부대 이전에 따라 인천시의 구도심재생사업도 탄력을 받게 됐다. 남북 화해 시대의 실질적인 효과를 인천 시민들이 가장 먼저 체감하게 된 것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현 정부의 대북 정책 기조가 힘을 얻기 위해선 인천과 같은 접경 지역 주민들의 지지 여론이 중요하다. 이런 지지 여론은 주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나올 때 형성되는 것"이라며 "결국 평화가 돈이 되고 경제가 된다는 것을 정부가 국민들에게 확실히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인천의 경우 남북 화해 분위기에 따라 시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가 조금씩 만들어지고 있으며, 경협이 재개되면 이런 체감의 정도가 더 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수한 인천연구원 연구위원도 "북미 정상회담 이후 점진적으로 경협이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며 "인천은 대북 경협 사업의 물류 전진기지(인천항, 인천공항)는 물론 그 배후로서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명호기자 boq79@kyeongin.com
[뉴스분석-'북미정상회담 D-1' 남북 경협재개 기대감]인천에서 실현되고 있는 '평화가 경제다'
입력 2019-02-25 22:14
지면 아이콘
지면
ⓘ
2019-02-26 1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문재인 대통령, 역사의 중심에서 '공존·번영 新한반도' 외친다
2019-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