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안타깝게도 호선이는 떠도는 기간 중에 임신을 했고, 전염성 강한 홍역 진단까지 받았다. 대형견 치료시설을 갖춘 병원을 찾기 힘들었으나 한 동물병원의 빠른 대응으로 치료를 받을 수 있었다. 치료 중 새끼들은 모두 사산했지만 호선이는 강한 생명력으로 버티고 있다. 입양자는 1천만원의 비용이 넘는 큰 치료를 앞두고도 생명을 포기하지 않고 반드시 살리겠다는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다. 구조에 참여한 많은 사람들도 뜻을 함께하여 SNS를 통해 자선물품을 판매하는 등 치료비를 마련하고 있다.
현재 대한민국은 천만이 넘는 반려동물이 인간과 관계를 맺으며 살고 있다. 하지만 낮은 동물 의식 수준으로, 인간중심의 일방적 관계로 인해 고통받는 동물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다양한 동물보호 교육을 통해 인간에게 동물은 소유물이 아닌 함께 살아가는 공생의 대상이라는 인식 개선이 필요한 때이다.
한명의 개인이 어려움에 처한 모든 동물을 구할 수는 없다. 그러나 지역 주민들이 연대하여 한 생명의 구조를 위해 방법을 모색하고 실천하는 자세가 동물보호의 시작이 되었다. 생명과 관계를 소중히 여기는 지역 주민들의 덕목이 오랫동안 따뜻한 기억으로 남을 것이다.
/김준미 이화여대 교육대학원생